"선별 수주가 대세"…지방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하늘의 별따기' 미분양 증가·공사비 급등·…건설업계 "유동성 확보 우선" 뉴시스 |
2025년 06월 27일(금) 11:12 |
|
특히 미분양이 쌓인 일부 지방에서는 자금 회수와 유동성 우려 등 불확실성이 크다 보니 시공사를 제때 찾지 못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부산 동래구 사직3구역 재개발조합은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재입찰 절차를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13일 마감한 첫 입찰에 GS건설이 단독으로 참여하면서 유찰돼 재공고를 냈다. 지난 23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두 번째 현장설명회에 GS건설과 롯데건설이 참석했다. 재입찰 마감일은 내달 22일이다.
다른 지방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대전 중구 호동구역 재개발사업은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두 차례 진행했지만, 참여한 건설사 한 곳도 없어 유찰됐다. 지난 2월 1차 현장설명회에서 HJ중공업, 제일건설 등이 관심을 보였지만, 결국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 사업은 대전 중구 대종로141번길 29 일대 3만7057.9㎡를 대상으로 조합 등이 이곳에 지하 2층에서 지상 29층에 이르는 공동주택 7개 동 657가구 및 부대복리시설 등을 짓는 사업이다.
현행 도시정비법에 따라 시공사 입찰에 2곳 미만의 업체가 참여하면 유찰된다. 또 유찰이 되면 같은 조건을 1차례 더 입찰 과정을 진행하고, 두 번 입찰에도 단독 입찰일 경우 조합이 수익계약을 맺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건설업계에선 이 같은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상승, 고금리, 부동산 경기 침체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건설사가 수익성을 확보한 일부 사업장을 제외하고, 보수적으로 수주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공사비 급등에 따른 분양가 상승 등의 여파로 사업성이 확보된 사업장을 중심으로 선별 수주에 나서고 있다"며 "미분양이 쌓인 지방에서는 유동성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 사업성이 확실하게 보장된 사업장이 아니라면 입찰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지방 5대 광역시 분양가가 3년 사이 33%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꾸준히 오르면서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 광역시도 사상 최초 3.3㎡당 2000만원선을 넘겼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지방 5대 광역시(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에 공급된 3.3㎡당 아파트 분양가는 2104만원으로 2021년 1584만원보다 32.8% 상승했다.
지역별로 부산이 1498만원에서 2357만원으로 57.4%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3년간 분양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부산은 지난해 3.3㎡당 3000만원을 넘긴 단지가 4곳이나 됐다. 대전도 같은 기간 1305만원에서 2035만원으로 55.9% 크게 불어났다. 대전에선 지난해 공급된 총 17개 단지 중 8곳이 3.3㎡당 2000만원을 넘겼다. 이 중 7곳은 유성구에 집중됐고, 서구도 1곳이 2000만원을 넘겼다.
울산은 47.6% 상승률을 나타냈다. 울산도 지난해 공급된 총 13개 단지 중 9개 단지가 3.3㎡당 2000만원을 상회했다. 9개 단지 중 7개 단지가 울산에서 집값이 가장 높은 남구였고, 나머지 2곳은 중구에 공급됐다. 이어 광주(21.2%)와 대구(19.7%)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1분기 역시 지방 5대 광역시 3.3㎡당 평균 분양가는 2028만원으로 대구 2229만원, 부산 2012만원 등 2000만원선을 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건설사들의 선별 수주가 당분간 이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지는 지방의 소규모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에서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이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건설사들이 무리하게 수주 경쟁을 벌이지 않고, 선별 수주에 나서고 있다"며 "건설 원자잿값 급등과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건설사들이 선별 수주에 나서면서 사업성이 다소 떨어지는 지방 정비사업 단지는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