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한덕수 전 총리·안덕근 산업부 장관 소환 한덕수, 사후 선포문 서명 후 폐기 의혹 뉴시스 |
2025년 07월 02일(수) 10:57 |
|
한 전 총리와 안 장관은 이날 오전 9시53분께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했다.
두 사람은 '어떤 신분으로 왔나', '윤 전 대통령 직권남용의 피해자라 생각하나', '어떤 부분을 소명하실 건가' 등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특검은 한 전 총리와 안 장관 등 일부 국무위원들이 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내란을 묵인 또는 방조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한 전 총리는 대통령 집무실로 들어가 '다른 국무위원들도 불러서 얘기를 더 들어봐야 하지 않겠냐고 대통령을 설득했다'고 진술했는데, 이후 대통령 부속실 직원들까지 국무위원들에게 연락을 급하게 돌리면서 '정족수를 채워 선포 요건을 갖추려 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강 전 실장은 "계엄 당일 오후 9시가 넘어 김정환 대통령실 수행실장이 '대통령이 (국무위원들을) 추가로 더 부르라고 지시했다'며 명단을 적어왔는데, 최상목·송미령·조규홍·오영주·박상우·안덕근이 있었다"고 진술했다.
안 장관은 계엄 선포 당일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한 전 총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새로운 계엄 선포문이 작성됐다가 폐기된 정황에 관여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은 지난 2월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특수본) 조사에서 비상계엄 이후인 지난해 12월 5일 한 전 총리와 통화하기 전 김주현 전 민정수석으로부터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해야 하는데 비상계엄 관련 문서가 있냐'는 질문을 받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 전 실장은 국무총리와 국방부 장관의 서명이 담긴 비상계엄 선포 문건을 사후에 작성할 목적으로 한 전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강 전 실장이 새롭게 작성한 문건에는 국무총리와 국방부 장관의 서명란이 포함됐고 여기에 한 전 총리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모두 서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외 다른 국무위원들은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한 전 총리가 며칠 뒤 '사후 문건을 만들었다는 게 알려지면 또 다른 논쟁을 낳을 수 있으니 없던 일로 하자'고 요청해 결국 문건은 폐기됐다고 한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