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고 평균기온에 이른 열대야…폭염 기승부린 6월 6월 전국 평균 22.9도…지난해보다 0.2도 ↑ 뉴시스 |
2025년 07월 04일(금) 11:16 |
|
4일 기상청은 2025년 6월의 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6월 전국 평균기온은 22.9도로 평년보다 1.5도 높았고, 가장 더웠던 지난해(22.7도)보다 0.2도 높아 역대 최고 1위를 경신했다.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남서풍이 주로 불어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날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달 27∼30일에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고 낮 동안 햇볕이 더해지면서 무더운 날씨가 이어졌다.
지난달 27일 남부지방부터 폭염특보가 발효돼 29일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됐다. 같은 달 29∼30일에는 전국 일평균기온이 1위를 기록하는 등 한여름 날씨를 보이며 매우 무더웠다.
전국 곳곳에서 역대 가장 이른 열대야도 발생했다. 18일에 강릉에서 올해 첫 열대야를 시작으로 19일에 대전, 대구, 광주 등 12개 지점에서 역대 가장 이른 열대야가 기록됐다.
6월 전국 폭염일수와 열대야일수는 각각 2.0일, 0.8일로 모두 역대 2위였고 서울은 관측 이래 2022년 이후 4년 연속 6월 열대야가 발생했다.
6월 전국 강수량은 187.4㎜로 평년(148.2㎜) 대비 126.6% 수준으로 많았다. 강수일수는 10.5일로 평년(9.9일)과 비슷했다.
중순 이후 열대저압부와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두 차례 많은 비가 내렸다.
지난달 13∼14일에는 중국 상하이 부근의 열대저압부로부터 다량의 수증기가 유입된 남부지방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150㎜ 이상의 비가 왔다. 같은 달 14일 부산에는 매우 강한 비가 내리면서 1시간 최다강수량 61.2㎜로 6월 극값을 경신하기도 했다.
20∼21일에는 우리나라 남쪽의 북태평양고기압과 북쪽의 찬 공기 사이에서 정체전선이 발달하며 충청과 전북은 150㎜ 이상의 매우 많은 비가 내렸고, 수도권을 중심으로는 20일에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50㎜ 이상의 매우 강한 비가 내렸다.
올해 장맛비는 제주도는 지난달 12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은 지난달 19~20일에 시작해 평년보다 각각 7일, 5~6일, 3~4일 빨랐다.
이는 필리핀 부근에서 평년 대비 활발해진 대류와 북태평양의 높은 해수면온도의 영향으로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빠르게 확장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6월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온도는 19.3도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3도 낮았다. 6월 들어 기온 상승 등의 영향으로 해수면온도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지난 봄철 낮았던 영향이 이어지며 최근 10년 중 세 번째로 낮았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6월 말부터 전국적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발생하며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어 더위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