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군공항 李 정부 국정과제 확정…최초 건의 18년 만
뉴시스
2025년 07월 08일(화) 11:03
[나이스데이] 광주·전남 최대 공통 현안인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로 사실상 확정돼 이전 논의에 속도와 탄력이 붙게 됐다. 최초 건의 18년 만이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이날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사실상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라고 공식 발표했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브리핑을 통해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는 대통령께서 직접 (광주를) 방문하셔서 관련 단체장들과 함께 있는 자리(타운홀미팅)에서 공개 논의됐고, 사실상 대통령 국정과제가 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문제는 대통령이 책임지고 해결하겠다는 약속을 국민들께 드린 것"이라며 "그에 따라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광주시가 2007년 11월 국방부에 군공항 무안 이전을 건의한 지 18년, 2014년 10월 이전 건의서를 국방부에 정식 제출한 지 11년 만이다. 이재명 대통령 주재 광주 타운홀 미팅이 있은 지 꼬박 12일 만이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SNS 글을 통해 "그동안 광주는 정부 지원의 근거인 특별법도 만들고 과감한 지원도 약속했지만, 무안군의 '불신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었다"며 "불신을 신뢰로 바꾸기 위해선 든든한 '보증인'이 필요했는데, 이재명 대통령께서 보증인이 돼 주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이날 안규백 국방부장관 후보자를 만나 "민·군 통합공항 이전은 지자체 힘만으로는 부족한 만큼 국방부가 더욱 나서 달라. 국방부가 주도해 서남권 관문공항이 활짝 열릴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강 시장은 특히 소음 문제와 관련해선 "국방부가 무안군 동의를 받아 공항공사와 협의해 실제 전투기를 무안공항에 띄워 검증했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광주 타운홀 미팅에서 해묵은 난제인 군공항 이전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주관 대통령실 TF 구성을 지시했고, 하룻만에 대통령실 국토교통비서관실을 간사로 국방비서관실, 자치발전비서관실, 공공갈등조정비서관실 등이 참여하는 TF가 꾸려졌다.

또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을 비롯해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까지 참여하는 6자 TF 협의체도 구성됐다.

6자 협의체와 대통령실 TF 구성에 이어 국정과제 공식화로 광주 군공항 이전 논의는 수면 위에서 정부 주도로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군공항 이전 논의는 지난 2007년, 무안국제공항 개항을 앞두고 광주 민간공항 존치 논쟁이 커지는 과정에서 광주시가 국방부에 군 공항 무안 이전을 첫 건의하고, 2014년 10월 광주시가 국방부에 이전건의서를 정식 제출하면서 본격화됐으나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간 첨예한 의견차로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했었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10540744326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8일 19: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