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정책실장 "당장 美 관세율 인상 피해…조속한 협의보다 국익 관철이 중요" 美 관세조치 유예기한 내달 1일로 연장…김 실장 주재 대책회의 열려 뉴시스 |
2025년 07월 08일(화) 16:58 |
|
김 실장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에서 대미(對美) 통상 현안 관계 부처 대책회의를 열고 미국이 다음달 1일부터 상호관세 25% 부과조치를 시행하는 데 대한 대응 계획을 논의하며 이같이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김 실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 기간 동안 한미 통상장관·안보실장 협의,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등 양자·다자회의 계기에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며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했다"며 인상된 관세율이 부과되기 전까지 대미 협상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실장은 "다행히 현재 시장 반응은 차분하나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자동차·철강 등 국내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라"며 "시장 다변화 등 수출 대책도 보강해서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김 실장은 현재 방미 중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귀국하면 정책실·국가안보실 간 공동회의를 개최해 관련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협의할 계획이다. 위 실장은 7일(현지 시간) 마크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관세·정상회담을 비롯한 양국 현안을 논의했다. 위 실장은 한국 시간으로 오는 9일 귀국한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8월 1일까지 협상 기한을 얻은 데 의미를 두고 있다"며 "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새 정부 출범 후 시간이 촉박했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은 면한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확보된 협상 시간 만큼 위 실장도 고위급 회담을 이어가고 있고 조금 더 나은 결과를 바라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날 대책회의에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과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기획재정부 이형일 1차관, 외교부 김진아 2차관, 산업통상자원부 문신학 1차관 등이 참석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