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귀환 희망' 北 주민 6명, 해상으로 안전 송환"

3월, 5월 서해·동해서 표류 중 구조
30~40대 가장들, 귀환 의사 확고
북한 경비정 인계지점서 대기

뉴시스
2025년 07월 09일(수) 12:09
[나이스데이] 정부는 동해와 서해에서 표류하다가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해상 송환했다고 9일 밝혔다. 이들은 길게는 4달 동안 남한에 체류했으며, 구조 직후부터 북한으로 돌아가기를 원한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통일부는 이날 "정부는 지난 3월 서해, 지난 5월 동해상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오늘 동해상으로 함께 송환했다"며 "결과적으로 원활하고 안전하게 송환했다"고 했다.

통일부는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다"며 "북한 (주민들이 탄) 선박은 자력으로 귀환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오전 8시56분 한 주민들이 탄 목선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갔으며, 9시24분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북한 어선과 목선이 만나 북측으로 이동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서해와 동해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들은 각각 124일만, 43일만에 북한으로 돌아가게 됐다. 앞서 북한 주민 2명은 지난 3월 7일 서해 NLL 이남에서, 4명은 5월 27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가 구조됐다.

이들은 줄곧 귀환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지만 북한이 남북 간 연락 채널을 모두 일방적으로 단절한 데 따라 송환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마땅한 소통 통로가 없는 탓에 정부는 유엔군사령부(유엔사)와 북한군 간 직통 전화인 '핑크폰'을 통해 이들의 귀환 의사를 알려왔지만, 북한은 유의미한 반응을 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들이 타고 온 선박을 수리해 자력 항해를 통해 돌려보내는 방식을 택했다. 통일부는 유엔사 채널을 통해 이번 송환 일시 및 지점 등을 사전 통보했다.

주민들은 수리를 마친 동해 구조 선박에 6명이 함께 승선해 돌아갔다. 서해 구조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운항할 수 없었다.

한때 판문점 육로 송환도 가능한 시나리오로 꼽혔다. 하지만 남북 간 대화 단절로 인해 북한의 의사를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북한 당국에 대면 인계를 시도하는 데 대한 부담감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민간인 북송을 위한 판문점 출입에는 유엔사 승인이 필요한데, 유엔사 역시 육로 송환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는 6명 전원의 귀환 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북한에 가족이 있는 30대~40대 남성들로, 정부 고위 당국자와의 일대일 면담에서 하루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했다고 한다.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군정위)와 중립국감독위 두 곳도 각각 이들과 직접 면담해 의사를 들었다.

정부는 안전한 운항을 위해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해 송환 날짜를 정했다. 구명조끼와 비상식량을 포함한 인도주의적 차원의 물품도 지원했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10565053949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9일 21:5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