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NSC 전체회의서 대미 관세협상 논의…"국익 최우선 모색" 취임 후 첫 전체회의 주재…하반기 외교·통일·안보 현안점검 뉴시스 |
2025년 07월 11일(금) 10:44 |
|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 회의는 오후 4시40분부터 6시50분까지 이어졌다"며 "올 하반기 예상되는 주요 안보 현안을 미리 살피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 위 실장을 비롯해 외교·통일부 차관, 국방부·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국가정보원 1차장, 국가안보실 1·2·3차장 등이 참석했다. 강 대변인은 "국무회의와 유사하게 (이 대통령이) 각각의 보고에 대해서 꼼꼼히 다시 되물으시고 확인하는 과정이 길었다"며 회의 분위기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새 정부가 출범한 지 40여일 만에 첫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열렸다"며 "국가 안보는 언제나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요동치는 국제질서 변화는 물론 국내 정치 상황과 한반도 특수성을 반영한 북한 변수까지 종합적으로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안보가 흔들리면 경제가 무너진다"며 "국민 삶을 안전하게 지켜낼 수 있게 지혜를 모아달라"라고 했다.
또 "관계 부처 모두 한마음으로 국익을 최우선으로 평화, 실용, 국민 안전에 매진해야 한다"며 "단절된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남북 간 평화와 공존이 우리 안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지"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한을 통해 상호관세 25% 발효 시한을 8월 1일로 정한 상황에서 강 대변인은 "NSC 특성상 자세한 내용을 전부 말할 수는 없고, 여러가지로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어떤 것이냐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은 오갔다"고 설명했다.
8월 1일 전 미국에 특사단을 파견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은 명확하게 정해진 바가 없다"며 "교섭 과정을 통해 특사가 정해지고, 또 변경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직 확정된 명단은 없다"고 답했다.
남북관계 복원에 대해서는 "오물풍선 문제나 대북방송 부분이나 남쪽으로 표류한 북한 주민들이 별 문제없이 돌아가는 등 우리가 현상적으로 느끼는 평화로워진 체감을 (국민께) 전달드리기 위해서 우리 정부는 애를 쓸 거라고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보면 될 것 같다"며 "그런 방향 관련 남북 간 끊어져 있는 여러가지 연결망들과 대화망들이 어떤 방식으로 복구가 가능한가, 이런 부분에 대한 이야기들은 있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