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NSC 전체회의서 대미 관세협상 논의…"국익 최우선 모색"

취임 후 첫 전체회의 주재…하반기 외교·통일·안보 현안점검
李 "국가 안보,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 중요…지혜 모아달라"
"남북 평화·공존, 우리 안보 위한 가장 현실적·실용적 선택지"

뉴시스
2025년 07월 11일(금) 10:44
[나이스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10일 취임 후 첫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했다. 미국에 급파됐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귀국한 지 하루 만에 이뤄진 것으로 대미 협상의 대응 전략 등도 논의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 회의는 오후 4시40분부터 6시50분까지 이어졌다"며 "올 하반기 예상되는 주요 안보 현안을 미리 살피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 위 실장을 비롯해 외교·통일부 차관, 국방부·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국가정보원 1차장, 국가안보실 1·2·3차장 등이 참석했다. 강 대변인은 "국무회의와 유사하게 (이 대통령이) 각각의 보고에 대해서 꼼꼼히 다시 되물으시고 확인하는 과정이 길었다"며 회의 분위기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새 정부가 출범한 지 40여일 만에 첫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열렸다"며 "국가 안보는 언제나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요동치는 국제질서 변화는 물론 국내 정치 상황과 한반도 특수성을 반영한 북한 변수까지 종합적으로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안보가 흔들리면 경제가 무너진다"며 "국민 삶을 안전하게 지켜낼 수 있게 지혜를 모아달라"라고 했다.

또 "관계 부처 모두 한마음으로 국익을 최우선으로 평화, 실용, 국민 안전에 매진해야 한다"며 "단절된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남북 간 평화와 공존이 우리 안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지"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한을 통해 상호관세 25% 발효 시한을 8월 1일로 정한 상황에서 강 대변인은 "NSC 특성상 자세한 내용을 전부 말할 수는 없고, 여러가지로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어떤 것이냐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은 오갔다"고 설명했다.

8월 1일 전 미국에 특사단을 파견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은 명확하게 정해진 바가 없다"며 "교섭 과정을 통해 특사가 정해지고, 또 변경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직 확정된 명단은 없다"고 답했다.

남북관계 복원에 대해서는 "오물풍선 문제나 대북방송 부분이나 남쪽으로 표류한 북한 주민들이 별 문제없이 돌아가는 등 우리가 현상적으로 느끼는 평화로워진 체감을 (국민께) 전달드리기 위해서 우리 정부는 애를 쓸 거라고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보면 될 것 같다"며 "그런 방향 관련 남북 간 끊어져 있는 여러가지 연결망들과 대화망들이 어떤 방식으로 복구가 가능한가, 이런 부분에 대한 이야기들은 있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10601772632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1일 18:4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