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권주자 '컷오프 논쟁'…광주·전남, '기대반 우려반'

정청래 "노 컷오프, 모두 경선" vs 박찬대 "엄격한 컷오프 후 100% 경선"
"후보 난립, 사분오열, 본선 패배" vs "진영·계파 갈등, 불복 악습 되풀이"

뉴시스
2025년 07월 28일(월) 11:49
[나이스데이]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간 '컷오프(Cut-Off·공천 배제) 논쟁'으로 광주·전남 지역 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컷오프 폐지 찬반 논란에 현직 단체장과 입지자 사이에 유·불리 셈법을 따지는가 하면 '노 컷(NO Cut)'이라는 전례없는 정치실험 성공 여부와 부작용·후유증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광주·전남 지역 정가에 따르면 민주당 당대표 선거를 앞두고 정청래 후보는 "억울한 탈락자는 없어야 한다"며 노 컷(NO Cut), 즉 컷오프제 폐지를, 박찬대 후보는 "엄격한 컷오프 후 100% 경선 참여와 선거공영제"를 호남 공천 혁신안으로 제시했다.

정 후보는 지방선거 입후보자 검증은 당 후보검증위원회에서 음주와 범죄 여부 등을 엄격히 살피되 검증을 통과한 이들은 예외없이 모두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경선 문턱을 사실상 없애자는 취지다.

"장난질하거나 새치기하거나 누군가를 공천하기 위해 (특정인에게) 억울하게 '자격없다'고 해선 안된다"는 의미가 깔렸다.

반면 박 후보는 공정하고 명확한 기준에 의한 컷오프를 통해 통과한 후보자 모두에게 경선다운 경선을 보장하고 당에 대한 기여도와 충성도 등의 비율도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컷오프를 없애는 건 구태정치 부활이고 무자격자들이 난립하고 퇴출 대상자에게 기회를 줄 것처럼 현혹될 수 있는 만큼 철회돼야 한다"는 판단도 배어 있다.

온도차가 뚜렷한 두 후보의 호남 공천룰에 지역 정가에선 다양한 반응이 나온다.

노 컷오프를 두고는 공천 시즌마다 되풀이돼온 경선 불복, 재심과 같은 악순환은 줄어 드는 대신 후보 난립과 사분오열로 되레 조직 분열이 가속화되고 본선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 한 당직자는 "컷오프 폐지는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이어서 혼란과 후유증이 뒤따를 것이고 관리상에도 애로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존 시스템 공천을 무력화하는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영남·영동과 달리 호남에선 10명 이상이 난립해 결선투표가 불가피해지고 부작용도 적지 않을 것이다" "현역 단체장들의 컷오프 우려한 반영한 주장 아니겠냐"는 해석들도 나온다.

전남도의회 한 관계자는 "컷오프나 전략공천의 경우 과거 악용된 사례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안다"며 "정해진 룰대로만 한다면 이 같은 제도를 활용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본다. 원칙만 명확하게 지켜지면 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이 주장한 엄격한 컷오프와 청년·여성 우대, 전략공천을 두고는 "룰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혁신 공천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자칫 진영, 계파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고 경선·공천 불복종으로 깊은 내상을 입어 다자구도 본선에서 되레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출마예정자는 "두 후보 모두 개혁·혁신공천을 주장하지만 결국엔 어느 길을 택하는 것이 본선에서 승리할 것이냐가 관건"이라며 "전당대회 과정서, 또 당대표 선출 후 중앙당 차원의 치열한 논의가 필요해 현재로선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1086054551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29일 01:5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