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관세협상 관련 "美 요구 동의했다면 탄핵당했을 것 "

"트럼프, 北 문제에 구체적 진전 있다면 노벨 평화상 자격"
"美 중심 공급망 함께…中과 적대적 관계되지 않게 관리해야"
트럼프 '주한미군 부지 소유권' 주장에 "농담한 것이라 믿어"
"미·중 구도에서 한국이 가교 역할"
"대북 제재 완화로 비핵화 나갈 것"
"조국·윤미향 사면, 불가피한 결정"

뉴시스
2025년 09월 18일(목) 11:19
[나이스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3500억 달러 펀드를 중심으로 한 대미투자 협상 과정에 대해 "미국의 요구에 동의했다면 탄핵당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18일 오전 공개된 미국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그래서 미국 협상팀에 합리적인 대안을 요청해뒀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인터뷰는 이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지난 3일 서울에서 진행됐다.

앞선 한미 정상회담에서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를 언급한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지명할 의향이 있는지 물음에 "이 문제(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대해 구체적인 진전이 있다면, 그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다른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중단·감축·비핵화'로 이어지는 북핵 대응 전략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도 같은 생각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미중 대립 사이 한국의 역할을 두고는 "우리는 새로운 세계질서와 미국 중심의 공급망에서 미국과 함께할 것이지만, 중국과의 관계를 적대적으로 만들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그렇지 않으면 한국이 두 진영 간 전투의 최전선이 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대통령은 국내 상황을 "매우 심각한 위기"라고 진단하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우리 경제를 성장 궤도에 다시 올려놓고 국민들을 위한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국민은 불굴의 의지를 가지고 있다"며 "우리 앞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과정에서 주한미군 부지 소유권을 요구한 것과 관련 "그가 농담한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미국 타임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이미 미국은 아무 비용 없이 해당 기지와 땅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만약 미국이 실제로 토지를 소유한다면 재산세를 내야 한다. 그것은 면제해 줄 수 없다"고 웃으며 말했다. 타임지와의 이번 인터뷰는 지난 3일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을 두고는 "둘 다 많은 것을 이루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있고 사람들이 기억할 유산을 남기고 싶어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며 "다른 사람들처럼 주류의 삶을 살지 않았다는 점을 공유한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예측 불가능해 보일지 몰라도 성공한 사업가이자 성과 지향적이고 현실적인 분"이라며 "절대 패배자가 되는 결정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제 예상보다 더 잘 연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중국 간 경쟁 구도와 관련해서는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과거의 공식으로 돌아갈 수 없다"며 한국이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가치는 한미동맹에 기반하고 있다"면서도 "중국과는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적 관계, 경제·인적 교류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단절할 수 없다.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서방 세계도 이를 이해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했다.

대북 정책을 두고는 "북한에 (핵무기 개발을) 그냥 멈추라고 하면 멈추겠나. 우리가 지금처럼 압박을 계속 가하면 북한은 오히려 폭탄을 더 만들 것"이라며 대북 제재 완화를 통해 핵무기 개발 중단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 핵 문제를 '용인하느냐, 완전한 비핵화를 이루느냐'라는 양자택일로 보고는 한다"며 "저는 그 중간 지점이 있다고 본다.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멈추도록 협상할 수 있다"고 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이후 북한이 한국의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에도 "단기적으로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멈추는 것이 우선이고 그에 대한 일정한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며 "이후에는 군축으로, 궁극적으로는 완전한 비핵화로 나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윤미향 전 의원의 사면으로 논란이 불거진 것에는 "모든 사안에는 양면이 있다. 여론이 갈릴 것을 알았지만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며 "지금의 정치 지형에서는 제 호흡조차도 비난 받는다. 제 책무는 이러한 문화를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류 열풍을 두고는 "한국의 문화적 역량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게 아니라 예로부터 존재해 왔다"며 "K-컬쳐를 통해 한국의 소프트파워가 더 커질 것이다. 한국의 문화산업이 우리 경제에도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했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11618243001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8일 14:4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