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D-30]①20년만의 정상 한국 집결, 트럼프·시진핑도 방한…글로벌 '통상 전쟁' 분수령

미·중 정상 동시 참석 가능성…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 가능성에 세계 이목
관세 갈등 돌파구 마련할지 관심…회원국간 다자무역체제 공감대 가능할지 주목
20년만에 한국 의장국 맡아…APEC 차원 첫 논의 의제 AI·인구구조 관심

뉴시스
2025년 09월 30일(화) 11:38
[나이스데이]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아시아·태평양 연안 21개 국가가 참여하는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10월27일 최종고위관리회의를 시작으로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 기업 최고경영자 회의(CEO 서밋) 등 각종 회의가 열리지만 가장 하이라이트는 31일 각국 정상들이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 모이는 정상회의라 할 수 있다. 정부의 카운트다운 역시 이 회의를 기준으로 맞춰진다. 경주 APEC 정상회의(10월 31~11월 1일)는 다음달 1일 기준으로 D-30일이 된다.

아태 연안지역 국가들로 구성된 APEC은 지역 경제공동체 추진을 통한 역내 경제성장을 목표로 해 지역적 성격을 띠고 있지만, 경제 뿐만 아니라 안보 측면에 미치는 영향이나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해 세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미중 전략 경쟁, 러우전쟁·중동정세 불안, 북핵 고도화 등 난제가 중첩된 시기에 올해 APEC 의장국인 한국은 세계 주요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외교적 입지를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APEC은 1989년 밥 호크 호주 총리가 서울 연설에서 공식 제안한 것이 계기가 되어 같은 해 12개국 장관급 회의로 출범했고, 1993년 정상회의로 격상됐다. 특히 1991년 서울에서 열린 제3차 장관회의에서 채택된 ‘APEC 서울 선언’은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전기를 제공했다. 한국은 2005년 부산 정상회의 이후 20년 만에 다시 의장국을 맡았다.

이번 APEC 정상회의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이라는 주제로 연결, 혁신, 번영이라는 세 가지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아태 지역의 무역투자 활성화 및 물리적, 제도적, 인적 교류를 통한 연결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인공지능(AI) 협력을 통한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며,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번영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30일 "APEC의 주제와 중점 과제는 2020년 채택된 푸트라자야 비전 2040(Putrajaya Vision 2040)을 계승한다는 취지가 있다"며 "이 비전은 무역과 투자, 혁신과 디지털화,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을 아태 지역의 3대 경제적 동인으로 제시했고 올해 세 가지 중점 과제인 연결, 혁신, 번영은 이러한 APEC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염두에 두고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10월 말 재무장관회의, 구조개혁장관회의가 남아 있어 정상회의에서 다룰 의제가 아직 최종 선정되지 않았지만 정부는 이번 APEC 정상회의의 핵심 성과로 'AI 협력',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의 무한한 잠재력을 포용적,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논의하고, 대부분 국가들이 저출산·고령화로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인구 문제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정상들이 다룰 의제 중 가장 주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의제는 단연 통상 관련 분야다. 관세,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미·중 간 패권 경쟁이 가열되면서 최근 통상환경이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APEC 회원국 간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APEC이 지향하는 무역자유화 및 다자무역체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회원국 간 공감대를 얼마나 형성할 수 있을지도 풀어야 하는 과제다.

특히 미중 간 상호관세 조치 유예 기간이 11월 10일까지로 시한이 임박한 기간에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동시에 방한할 가능성이 높다. APEC 회의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관세 갈등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담판이 될 지 관심이다.

이번 정상회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다자무역 체제의 기반이 갈수록 흔들리는 상황에서 역내 무역자유화 활성화 해법을 놓고 정상들의 정치적 의지에 따라 결과물이 다르게 나올 수도 있다는 점에서 경주 APEC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고, 결과에 따라선 글로벌 통상 질서의 방향을 설정하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APEC은 경제 협력체"라며 "관세 문제 등에 대해 공동의 공감대를 어떻게 어떤 표현으로 이끌어내는지, 갈등의 요소가 많은데 주요 정상들이 어떠한 합의를 하는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PEC 회의가 경제 뿐만 안보로도 관심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북핵 문제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평화 실현 방안을 정상들이 비중있게 논의할 것인가도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공식의제로 상정되지 않더라도 이번 경주 APEC이 북중러 대 한미일 구도의 신냉전이 심화되는 시기에 열리는 만큼 북핵 문제가 거론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제시한 한반도 평화구상인 '엔드(END·교류, 관계정상화, 비핵화) 이니셔티브'의 지지를 얻어내고,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해 각 회원국의 역할을 모색하는 장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주요국들과의 양자회담이나 소규모 다자회담을 통해 북핵문제를 비롯해 한반도 평화 구상에 관한 협력 기반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적으로는 경주 APEC이 지역 경제 활성화 계기가 될 수 있다. 20년 전 부산이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면서 부산 경제를 끌어올리는 동력으로 삼았듯, 이번에도 대규모 국제 행사를 치르면서 경주는 물론 인근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는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11812196284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2일 22:0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