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부동산 살리기'에도 악성 미분양 두 달째 증가 미분양 주택 6만6613채, 전월비 7% 증가 뉴시스 |
2025년 10월 01일(수) 11:19 |
|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방에 84%가 쌓여 있는 상황이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 통계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7.0% 증가한 6만6613채로 나타났다.
특히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1.9% 늘어난 2만7584채로 집계됐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014년 이후 약 10년 만에 2만채를 넘어섰다. 지난해 12월 2만1480채로, 2014년 7월 이후 처음으로 2만채를 돌파한 뒤 올해 8월 2만7584채까지 늘었다.
악성 미분양의 84%는 지방에 쌓여 있다.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147채다.
지역별로는 경상권에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다. 대구(3702채)와 경남(3314채), 경북(3237채) 등 경상권에만 1만채가 넘는 물량이 쌓여 있다.
미분양 주택이 많은 지역은 청약 시장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대구에서는 7개 아파트가 분양에 나섰지만, 1순위에서 전타입 마감된 단지는 '대구 범어 2차 아이파크' 단 한 곳에 그쳤다.
경남에서 청약을 접수한 8개 단지도 모두 청약 접수자가 적어 미달됐고, 경북에서도 미달 단지가 속출했다.
지방 건설경기 침체로 중견·중소 건설사의 줄도산이 현실화하고, 내수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치자 정부는 지방 건설경기 회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8·14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 방안'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구입에 대한 세 부담을 완화하고, 임대주택에 대한 세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공사비 현실화, 자재 수급 안정, 숙련인력 확충, 스마트 건설 기술 지원 등을 통해 건설업계의 비용·인력 부담을 완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대책도 마련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같은 정부의 대책에도 지방 주택 시장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지역별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주택시장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온도차가 뚜렷하고, 가격과 거래, 미분양, 입주 물량 등 핵심 지표에서 구조적 괴리가 지속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수도권 핵심지와 비수도권 거점의 동시 다핵화 전략, 지역 맞춤형 정비·재생·공공임대 재고 확충, 차등적 금융·세제 설계를 포괄한 종합 패키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