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끝, 국감 시즌 시작…검찰·사법개혁 화두 오를 듯 오는 13일부터 법사위 국감 시작 뉴시스 |
2025년 10월 10일(금) 10:57 |
|
10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오는 13일 대법원을 시작으로 법무부, 헌법재판소, 법제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대검찰청 관계자들을 잇달아 불러 각 기관의 현안을 물을 예정이다.
검찰청 폐지가 확정되며 검찰의 보완수사권 유지 및 전건 송치 부활 여부 등 세부 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논쟁이 거듭될 전망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서울구치소 특혜 의혹과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회유 의혹 등에 관한 질의도 예정돼 있다.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 불기소 처분, 서울남부지검 관봉권 띠지 분실 등도 화두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각각 이창수 전 서울중앙지검장과 최재현 전 남부지검 검사(현 중앙지검 부부장) 등 주요 관련자들이 증인으로 신청된 상태다.
'내란 청산'을 구호로 내걸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은 박성재 전 장관을 비롯한 12·3 비상계엄 당시 법무부 관계자들도 불러 내란 관여 의혹 전반을 캐물을 계획이다.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취소에 즉시 항고를 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심우정 전 검찰총장 등도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국감에서는 민주당이 추진하고 있는 사법개혁 관련 작지 않은 파열음이 나올 것이라는 예측이다.
민주당은 ▲대법관 수 확대 ▲대법관 추천위원회 구성 다양화 ▲법관 평가 제도 개선 ▲하급심 판결문 공개 범위 확대 ▲압수·수색영장 사전 심문제 도입 등을 검토하고 있다.
사법부는 사실상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국감을 계기로 관련 충돌이 심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고위 법관 회의체인 전국법원장회의가 열린 데 이어 전국법관대표회의도 토론회를 열고 여당발 사법개혁 추진에 관한 대안 마련에 나선 바 있다.
조희대 대법원장을 겨냥한 공세도 본격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민주당은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한 후 사법개혁 논의를 시작했다. 대법원이 대선 개입 시도를 했다는 것이 민주당의 주장이다. 민주당은 조 대법원장을 증인으로 신청한 상태다.
이와 함께 윤 전 대통령의 구속을 취소한 후 공판을 진행하는 내내 민주당의 주목을 받은 지귀연 서울중앙지법 부장도 이번 국감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술 접대 의혹도 받고 있는데, 대법원 윤리감사관실은 직무관련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며 수사기관의 조사를 지켜보겠다는 결론을 낸 상태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