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AI GPU 확보' 대전략…전력·냉각 시스템 등 부족 우려" 김우영 의원 지적…당장 GPU 1.3만장 배치 가능하지만 인프라 부족 뉴시스 |
2025년 10월 13일(월) 11:41 |
|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26년 목표인 약 2만장의 GPU를 데이터센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 30~40MW, 2030년 목표인 5만장에는 112M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신 AI 가속기인 엔비디아 H200, B200급 GPU는 서버당 10kW 이상을 요구하며 20~40kW 급 전력과 고효율 냉각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이를 두고 김 의원은 "GPU만으로는 AI 경쟁력이 완성되지 않는다"며 'GPU+데이터센터 인프라' 패키지 형태의 정책 지원을 촉구했다.
정부는 2025년 1만장, 2030년까지 5만장의 GPU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확보되는 GPU는 NHN(약 7500~8000장)·카카오(약 2400장)·네이버(약 3000장)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CSP)의 데이터센터에 순차 배치된다. 3000여장은 운영비·제반비용 등을 고려해 기업이 자체활용할 예정이다.
약 1만3000장의 GPU는 실사까지 마쳐 현재 물량 배치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수도권(경기도권) 집중 배치 경향과 GPU 클러스터 특성을 감안하면 향후 추가 물량은 전력·냉각·상면 확충 없이는 효율적 수용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도 GPU라는 '반도체'만 구매하면 AI 인프라가 완성된다는 한계에 갇히지 말아야 한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현재 수도권 데이터센터의 대부분은 저밀도 공랭식 구조로 설계돼 20~40kW 급 고밀도 전력, 고효율 냉각을 요구하는 최신 AI 서버에 적합한 'AI-레디 상면'을 즉시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서울 데이터센터 마켓베스트'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데이터센터의 공실률은 7% 미만으로 포화 상태다. 고밀도 전력 (20~40kW)과 고효율 냉각을 지원하는 AI-레디 상면은 전체의 5% 미만으로 추정된다.
이에 정부는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컴퓨터센터에 9000장 규모 GPU 설치를 추진 중이며, 비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한 '국가 AI 컴퓨팅 센터' 공모도 진행 중이다.
김 의원은 "정부가 당장 연내에 확보할 1만여장의 GPU는 물론, 앞으로 들여올 4만장의 GPU를 '어디에, 어떻게 설치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인프라를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의원은 정부의 GPU 확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국회 'AI 데이터센터 진흥 특별법' 논의 적극 참여 ▲수도권 중심 사고 탈피 ▲국내외 전문 기업들이 운영하는 고밀도 코로케이션 상면 활용 및 민관 협력을 통한 AI 전용 데이터센터 신축 등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AI 의 진짜 인프라는 반도체만이 아니라 전력·냉각·네트워크·AI-레디 상면까지 포함된다"며 "GPU 구축에 필요한 기반을 튼튼히 다져야 향후 정부의 대규모 마중물과 민간의 투자가 투입될 AI 인프라 투자가 더욱 큰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