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전산망 복구율 90% '코앞'…정부, 2차 예비비 투입

윤호중 행안부 장관, 국정자원 중대본 회의 참석

뉴시스
2025년 10월 31일(금) 11:28
[나이스데이]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전산망 복구를 위해 예비비를 추가 투입한다. 국정자원 대전본원에서 진행 중인 복구 작업은 내달 셋째주까지 마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31일 오전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정보시스템 복구 상황과 계획을 점검했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1등급 시스템 40개(100%), 2등급 시스템 63개(92.6%)를 포함해 총 631개 시스템(89%)이 복구됐다.

윤 장관은 "국민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1등급 시스템은 100% 복구가 완료됐다"며 "안전디딤돌 앱이 복구되면서 지진·산불·화재 등 각종 재난 상황에 대한 알림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게 됐고, 국민신문고가 정상화돼 민원과 제안에 대한 온라인 접수·처리가 다시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이 밖에도 국민비서 알림서비스, 통합보훈 시스템 등 국민 체감도가 높은 주요 서비스들이 정상화됐다.

정부는 국정자원 대전센터 복구와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전에 속도를 내어 남은 복구작업을 조속히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대전센터의 복구 대상 시스템은 693개 중 64개가 남은 상황으로, 11월 3주차까지 전부 복구할 계획이다.

대구센터 이전 대상인 16개 시스템 중 행안부 홈페이지 등 2개 시스템은 이미 복구됐고, 각 시스템의 백업데이터도 복원돼 대구센터로 이송됐다.

중대본은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2차 예비비 확보를 위해 재정당국과 긴밀히 협의할 계획이다.

윤 장관은 "이번 일을 계기로 단순히 시스템을 복구하는 차원을 넘어, 디지털 정부의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 안정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정부 정보시스템 인프라의 근본적 재설계를 추진해 내실 있는 인공지능(AI) 민주정부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새로이 구축되는 AI 민주정부는 재난과 보안이 한층 강화된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재보다 더욱 신뢰할 수 있고 안정적인 정부로 거듭날 것"이라며 "대규모 장애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12230962804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01일 00: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