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헌재, 숙고 넘어 선고 지연으로…명운 걸고 윤 파면하라" 민주, 윤 탄핵 선고기일 지정 압박…"다양한 방식 모색할 것" 뉴시스 |
2025년 03월 18일(화) 12:00 |
|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독재 정권 뺨치는 윤석열의 폭정과 12·3 내란 사태로 대한민국 국격과 민주주의가 처참하게 무너졌다"며 "내란수괴 윤석열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이 끝난 지 오늘로 22일째"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윤석열 파면으로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국격을 다시 회복해야 한다"며 "헌재는 신속하게 선고를 내려 달라"고 촉구했다.
신속한 탄핵 선고를 위해 당 차원의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용민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최후 변론 이후 오늘이 3주째인데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 11일에 비해 숙고 시간이 지나치게 긴 것 아니냐는 국민들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내수석은 "지난주까지는 헌법재판소가 워낙 중차대한 사건을 처리하기 때문에 숙고의 시간을 가졌을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다"면서도 "이제는 숙고의 시간을 넘어 지연의 시간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명심해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 위기를 극복하고 헌재 명운을 걸고 신속한 파면 선고를 해야 한다"며 "다양한 방식들을 모색하도록 하겠다. 신속한 선고기일 지정 신청, 사무처장의 국회 출석 요구 등 다양한 방식들을 강구해 보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도 "8명의 헌법재판관에게도 한 말씀드린다. 내란수괴 윤석열을 즉시 파면하라는 국민의 준엄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며 "받아들여야 한다. 시간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8명의 헌법재판관은 지금 대한민국을 살려낼 수 있는 결정권을 즉시 행사해야 한다"며 "결정이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회복은 어려워진다. 위기 극복을 위한 신속한 윤석열 파면 결정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김남희 의원은 "법원과 검찰의 선택적 정의와 무리한 법 적용으로 인해 대한민국은 혼돈에 빠져버렸다"며 "사법 시스템에 대한 불신과 분노는 극에 달했다"고 했다.
김 의원은 "헌재는 더 이상 결정을 미뤄서는 안 된다"며 "대한민국을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하루 빨리 내란수괴 파면 결정을 내려주시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