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선 주자 '경선룰' 샅바싸움 예고…"어대명 경선 안 돼"

비명계 잠룡들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 요구
민주 경선 규칙 고심…이번주 특별당규로 결정할 듯

뉴시스
2025년 04월 07일(월) 17:35
[나이스데이] 더불어민주당이 7일 본격적인 대선 후보 경선 준비에 돌입한 가운데 경선 룰(규칙)을 두고 치열한 샅바싸움이 예상된다.

비명(비이재명)계 대선 주자는 당장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며 범진보 진영 통합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요구했다.

경남지사를 지낸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제7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조기 대선이 확정된 후 민주당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것은 김 전 의원이 처음이다.

김 전 의원은 대통령제 권력 분산 개헌을 핵심 의제로 제시했다 그는 "제7공화국을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들이겠다"며 "대한민국의 대전환, 국가 대개혁을 위해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대적으로 개헌에 소극적인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대표를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우원식 국회의장이 거론한 조기대선·개헌 동시투표 제안에 "지금은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며 선을 그었다.

특히 김 전 의원은 당내 경선 방식과 관련해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압승해야 한다고 이 대표를 압박하고 나섰다.

그는 "윤석열의 계엄에 반대하고 윤석열 탄핵에 찬성했던 압도적 다수의 힘으로 '국민연합 정권교체', '국민연합 국가대개혁'에 나서야 한다"며 "그렇게 당선된 대통령 후보는 압도적으로 21대 대통령이 되고 냉전 극우세력을 제압해 정치개혁을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대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 결과가 예정된 선거는 민주주의가 아닌 정치 후진국에서나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비명계에선 김 전 의원 외에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도 전날 조국혁신당이 재차 요구한 100% 국민 투표로 범진보 진영 공동 후보를 선출하는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전날 회견에서 "민주당 대선 후보를 민주당 담장 안에 가두지 말라"며 "각 정당과 시민사회 인사가 제한 없이 참여해 후보를 선출하자"고 제안했다.

민주당은 경선 규칙을 놓고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권리당원 투표 50%+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과 대의원·권리당원으로 구성된 선거인단과 별도 신청한 일반 국민에 투표권을 주는 '국민경선' 등 두 가지 안을 놓고 실무 준비를 해왔다.

이번 주 중으로 경선을 위한 당규 등을 정비한 뒤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국면에 본격 진입하면 구체적인 선거인단 대상과 모집 방식 등을 두고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당 관계자는 "이 대표를 포함한 경선 후보들의 의견을 모두 들어야 한다"며 "이 대표가 사퇴한 후 특별당규준비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가 출범하면 논의 후에 최종 정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도부의 한 의원은 "앞으로 경선 룰 협상 과정에서 치열한 샅바싸움이 예상된다"며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위기지만 '어대명' 양상에 '경선 흥행'에 대한 고민은 깊다"고 했다.

다만 범야권 공동 후보 선출은 현실성이 없다며 사실상 일축했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전날 "각 당에서 대선 후보를 정하고, 이후 단일화를 통해 정권 교체를 실현하겠다는 과정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지 않겠냐"고 했다. 당 지도부 관계자도 "조기 대선은 시간이 촉박한 만큼 당내 시스템 대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이 기사는 나이스데이 홈페이지(nice-day.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ice-day.co.kr/article.php?aid=9224695960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2일 01: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