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부총리 미국행에 한미 관세협상 막 올라…트럼프 등판 여부 촉각 재무·통상 '2+2 통상협의' 예정…의제 조율 중 뉴시스 |
2025년 04월 22일(화) 11:41 |
|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오는 23~25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 D.C.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참석 등을 위해 출국한다.
최상목 부총리는 24일(현지 시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2 통상협의'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 협의에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마주 한다.
통상협의 장소와 의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등판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찾은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과 만나겠다고 돌연 밝힌 바 있다.
이후 백악관에서 직접 만나 주일미군 주둔비 증액, 일본 내 미국산 자동차 판매 문제 등을 요구했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등장에도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강영규 기재부 대변인은 "통상협의 의제는 조율 중"이라며 "실무진 사이에서 협의 제안이 왔고 우리가 답변을 하면 다시 장소 제안이 오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생각한 것처럼 빨리 (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협의는 미 재무부가 먼저 제안한 자리다. 트럼프 관세협상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베선트 장관이 최 부총리와의 면담을 제안한 이후 통상 수장도 함께 자리하기로 최종 결정됐다.
강영규 대변인은 "통상 현안 자체는 산업부가 주관돼서 한다"며 "(다만)통상이슈는 단순한 것이 아니고 다양한 이슈가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상을 바라보는 미국의 시각, 우리의 시각이 있으니 상호 의견 조율 과정에서 이야기를 할 것 같다"고 했다.
특히 이번 협의는 관세협상의 탐색전 성격이 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상(negotiation)'이 아닌 '협의(consultation)'라는 표현을 택한만큼 구체적인 요구 조건을 주고받거나 결정하기보다는 상호 간 의견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관세정책 발표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한미 고위급 면담인만큼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협상 방향성을 잡기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국익 최우선'의 원칙 하에 미 관세정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언급된 무역균형, 조선, 액화천연가스(LNG) 3대 분야를 중심으로 한미 상호 간의 관심 사항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안덕근 장관은 20일 KBS 일요진단에서 "조선·에너지 등 경제·산업 비전을 정확히 제시하고 그 쪽이 고민하는 무역 불균형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는 협의를 한다면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