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가격 고공행진에 중동사태까지…소비자물가 다시 2%대
검색 입력폼
탑뉴스

먹거리 가격 고공행진에 중동사태까지…소비자물가 다시 2%대

통계청, 6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5월 1%(1.9%)대로 떨어졌다가 6월 2%대 상승
축산물 4.3%↑·수산물 7.4%↑·가공식품 4.6%↑
달걀 3년5개월, 라면 1년9개월만에 최대폭 상승
석유류 0.3%↑…중동사태 여파 상승세로 전환
정부 "먹거리 물가 안정 위해 신속 대응할 계획"

[나이스데이] 소비자물가지수가 한 달 만에 2%대로 올라서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했고, 지난달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석유류 가격은 중동 사태 여파로 상승 전환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1월 2.2%, 2월 2.0%, 3월 2.1%, 4월 2.1% 등 4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뒤 5월에는 1.9%로 떨어졌다가 한 달 만에 다시 2% 대로 반등했다.

농축수산물(1.5%)과 공업제품(1.8%), 전기·가스·수도(3.1%), 서비스(2.4%) 가격이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4.3%), 수산물(7.4%), 가공식품(4.6%), 외식(3.1%) 등 먹거리 가격이 전반적으로 크게 올랐다. 수산물 가격 상승폭은 2023년 11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농산물 가격은 전달 비해 하락폭이 -4.7%에서 -1.8%로 줄었다.

6월에는 돼지고기(4.4%), 국산쇠고기(3.3%), 고등어(16.1%), 마늘(24.9%), 달걀(6.0%), 빵(6.4%), 김치(14.2%), 라면(6.9%), 찹쌀(33.0%) 등이 높은 가격 상승폭을 나타냈다. 달걀은 3년 5개월 만에, 라면은 1년 9개월 만에 가장 상승폭이 컸다.

반면 사과(-12.6%), 배(-25.2%), 파(-18.5%), 당근(-30.6%), 고구마(-9.6%), 토마토(-7.8%), 참외(-6.8%) 등의 가격은 큰 폭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마이너스(-2.3%)를 기록했던 석유류 가격은 중동 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0.3% 상승했다. 자동차용 LPG 가격은 10.6% 올랐다.

또 도시가스(6.9%), 지역난방비(9.8%), 상수도료(3.6%)도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전기료는 0.4% 하락했다.

서비스 품목 중에서는 보험서비스료(16.3%), 가전제품수리비(25.8%), 공동주택관리비(4.3%) 등 개인서비스의 상승폭이 컸다.

박병선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축산물의 경우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농산물은 하락폭이 축소됐고, 가공식품 등의 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전년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며 "석유류는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6월 0.3%로 상승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박병선 과장은 "수산물은 바다 수온이 높아져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고등어, 조기, 오징어 등에서 올라 전체적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달걀은 올해 초부터 산지 가격이 오르면서 4월부터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가공식품은 원재료비가 인상, 환율 상승, 인건비 상승 등이 물가에 순차적으로 반영된 영향"이라고 부연했다.

가격 변동폭이 큰 에너지나 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2%대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한국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4%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 식품 가격은 3.2% 상승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식품 이외 품목은 2.1%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 하락했다. 신선어개는 7.5%, 신선채소는 0.2% 상승했지만 신선과실이 7.6%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6월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른 석유류 상승 및 가공식품 상승폭 확대 등으로 전년동월비 2.2%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기재부는 "향후 기상여건, 국제유가 변동성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며 "특히 민생과 밀접한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주요 식품원료 할당관세 등을 지속하는 한편, 주요 품목의 가격·수급 변동요인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