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취임사 대신 직원과 소통…"다시 태어나는 기재부" 혁신 강조
검색 입력폼
탑뉴스

구윤철, 취임사 대신 직원과 소통…"다시 태어나는 기재부" 혁신 강조

신임 경제부총리 21일 정부세종청사서 취임식
통상적인 취임사 대신 강연 이어 직원들과 대화
"국민에 대한 봉사자, 타부처 도와주고 밀어주고"
불필요한 형식 최소화…AI 활용 업무 생산성 높여야

[나이스데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취임 일성은 혁신이었다. 신임 부총리에 임명된 뒤 처음 직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핵심사원으로, 다른 부처에게는 파트너로 혁신적으로 다시 태어나는 기재부가 돼야 한다"며 변화를 강조했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총리와 함께 하는 혁신 첫걸음-기재부가 달라졌어요'라는 주제로 강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취임식은 일반적인 방식인 부총리의 취임사 대신 강연, 직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함께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구 부총리는 강연에서 5가지 기재부 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핵심사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재부 직원들이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주주인 국민에 대한 친절한 봉사자가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국민주권정부의 주인인 국민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민에게 신뢰 받는 기재부가 돼야 한다고 했다.

다음으로는 "다른 부처의 파트너가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구 부총리는 "앞에서 다른 부처를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하기보다 도와주고 밀어주는 부처가 돼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부처간 협력과 융합, 지원을 강조했다.

아울러 구 부총리는 "현장에서 해법을 찾자"고 당부했다. 기재부가 '현장 중심 문제 해결사'가 돼 항상 현장의 어려움을 살피고 모든 사고를 현장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혁신의 아이콘'이 돼야 한다는 점도 주문했다. 항상 깨어있으면서 혁신적 아이디어를 내고, 그 아이디어를 업무와 결합해 성과를 내야 한다는 설명이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직원에게는 파격적 보상도 약속했다.

마지막으로는 '똑똑한 일터'를 만들자고 강조했다. 대면보고·대면회의 등 불필요한 형식을 최소화하고, 직급에 상관없이 누구나 부총리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직접 자유롭게 보고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겠다고 했다.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해 업무의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도 언급했다.

구 부총리는 이 모든 것을 통해 우리나라의 발전 및 발전의 과실이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는 기재부가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강연이 끝난 뒤 직원들의 질의에 응답하며 자유롭게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직원들은 일하면서 가장 보람있던 일, 업무에 임하는 자세, 공직생활의 다짐, 성과를 내는 혁신 노하우 등 등 다양한 질문을 했다.

실국에 관계없이 업무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소통 플랫폼, 단순 반복적인 업무의 AI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등 혁신 아이디어도 적극적으로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오늘 나온 아이디어를 정리해 실현 가능한 것부터 즉시 시행하겠다. 혁신은 현장에서 시작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런 소통 기회를 통해 직원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기획재정부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기재부는 "이번 취임식은 기재부의 새로운 혁신을 위한 첫걸음으로, 구 부총리의 리더십 하에 기획재정부가 보다 국민 친화적이고 혁신적인 조직으로 거듭 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하는 자리가 됐다"고 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