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전남·경남 등 주산지 중심의 피해가 집중되면서 여름철 장바구니 물가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닷새간 이어진 집중호우로 전국 2만8491㏊(헥타르)의 농작물이 물에 잠긴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여의도 면적(약 290㏊)의 98배, 서울 전체 면적(6만500㏊)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전체 피해의 98%가 충남·전남·경남 등 3개 지역에 집중됐다.
이 중 충남이 1만6710㏊(전체의 59%)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충남에서만 축구장 약 2만3398개 규모의 농경지가 물에 잠긴 것이다.
충남은 쌀과 사과, 배, 마늘, 포도 등 주력 작물의 최대 산지로 꼽힌다. 충남 서산은 전국 최대 마늘 주산지 중 하나로 꼽히며, 감자와 양파, 고추 등도 재배된다.
피해 작물 가운데서는 벼가 2만5065㏊(전체의 88%)로 가장 많았다. 특히 서해안 벼 재배지가 밀집한 충남에서 피해가 집중됐다.
이외에도 논콩, 고추, 멜론, 수박, 딸기, 쪽파, 대파 등 주요 채소와 과채류 전반에 걸쳐 침수 피해가 확인됐다.
고추, 딸기, 수박 등 과채류 주산지로 알려진 전남에선 비닐하우스 및 밭작물 피해가 집중됐다. 벼, 고추, 딸기 등 주요 작물 피해가 확인됐으며, 일부 지역은 지형상 상습 침수지대로 병해충 확산 우려도 나오고 있다.
축산 피해도 전국적으로 속출했다. 한우 529두, 젖소 149두, 돼지 855두, 닭 142만8900수, 오리 13만9400수, 꿀벌 1101군이 폐사하거나 사육 환경이 훼손됐다.
피해 지역 대부분이 폭우에 따른 축사 침수, 사료 저장고 유실, 전기차단 등에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충남은 가축 피해만 112만 마리로 전체의 71.3%에 달한다. 전남은 29만8000마리, 경남은 8만8000마리 수준으로, 세 지역이 전국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축산 기반이 집중된 충청권은 전국 가축 사육두수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어 피해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전국 육계 생산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축산 중심지인 경남은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육계·산란계 등 가금류 출하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이처럼 작물과 가축 피해가 집중된 주산지의 생산 차질은 공급 감소로 이어지며, 주요 농축산물 가격에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수박·멜론·고추·딸기 등 여름철 소비 비중이 높은 신선식품과, 육계·계란 등 가금류 품목에서 단기적 가격 불안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는 품목별 수급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수박·멜론 피해가 집중된 부여, 담양, 곡성 등 주산지에는 퇴수 조치와 세척·방제 약제 살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가격 급등 우려 품목에 대한 할인 지원도 추진된다.
쪽파는 피해가 컸던 예산·아산 지역에 대해 재파종을 검토하고, 딸기는 피해가 없는 지역에서의 모종 확보 지원에 나선다.
가금류는 수요 증가에 대비해 병아리 입식 확대와 종계 생산 주령 해제가 이미 이뤄졌으며,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소독·사양관리 강화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정부는 강원 지역의 여름배추·무에 대비해 예비묘 300만 주와 병해충 방제 약제를 공급하고, 침수된 사과·배·포도 등 과수에 대해서는 약제 및 현장 기술지원을 통해 병해 확산을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또한 침수지역 퇴수·세척·방제 지원, 농업재해보험 조사 인력 총동원, 피해 복구 및 보상 절차 신속화 등 전방위 대응에 나선 상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피해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수급 차질이 예상되는 품목은 비축물량 방출, 할인 지원 등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며 "농가에 대한 재해복구 지원도 신속히 이뤄지도록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