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교육은 이론교육과 체험교육을 융합해 안전보안관의 실질적 대응 능력 강화를 꾀했으며 ▲안전보안관 임무 및 역할 소개 ▲우수사례 공유 ▲건설현장 안전수칙 교육 ▲화재·생활·응급 안전 체험교육 순으로 진행했다.
건설현장 안전수칙 교육은 산업안전보건공단 전문 강사가 최근 현장 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안전수칙을 설명해 호응을 얻었다.
체험교육은 화재안전·생활안전·응급안전 3개 분야로 나눠 진행했다. 실제 위급 상황을 가정한 실습으로 참가자들이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 ▲화재 초기 대응법 ▲지하철 사고 대응법 ▲승강기 갇힘 사고 대응법 ▲가스 안전수칙 ▲심폐소생술 실시 요령 등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했다.
광주에는 348명의 안전보안관이 활동 중이다. 광주시 안전보안관들은 2025년 1~10월 간 안전취약지역 예찰활동 33회, 안전신문고를 활용한 생활 불편·위험요소 신고 1만3925건, 안전문화 캠페인 36회, 안전무시 7대 관행(불법 주·정차, 비상구 폐쇄, 보호구 미착용 등) 근절 활동 895건 등을 수행해 안전 파수꾼 역할을 했다.
특히 ‘안전한 대자보 도시’ 조성을 위해 도로·보행환경 점검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이부호 안전정책관은 “안전보안관은 지역 안전의 최일선에서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며 “이번 교육이 현장 대응 역량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자형 기자 ljah9991@naver.com
2025.11.26 (수) 18: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