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눈 파르르, 입꼬리는 씰룩…젊어도 못피하는 '이것'
검색 입력폼
건강

한쪽 눈 파르르, 입꼬리는 씰룩…젊어도 못피하는 '이것'

'스트레스성 안면경련' 2040 청년 위협
이유없는 눈떨림 지속시 안면경련 의심
방치 시 안면 비대칭·마비 등 야기 위험

[나이스데이] 눈이나 입술 등이 떨리면 마그네슘 부족, 피로 등을 원인으로 여기기 쉽다. 그러나 충분한 마그네슘을 복용하고 휴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뇌신경의 문제로 인한 안면경련의 전조가 아닌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통 안면경련은 나이든 환자들에게서 주로 보고되는 질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 관련 데이터를 살펴보면 매년 평균 20~40대 환자 수는 전체 환자의 47.8%에 이른다.

윤강준 강남베드로병원 신경외과 전문의(대표원장)는 “특히 젊은층에 나타나는 안면경련은 뇌 내 신경 및 혈관이 스트레스로 자극받아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그대로 놔둘 경우 증상이 심화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뇌 내 신경은 크게 12개로 구분 돼 있고 각각 고유의 기능을 담당한다. 이 중 안면경련과 관련이 있는 것은 얼굴 표정 근육의 제어를 담당하는 7번째 신경인 ’안면신경’이다. 이 안면 신경이 시작되는 근원부 지점이 혈관에 의해 눌리거나 자극을 받게 되면 얼굴 근육의 수축 및 완화 시스템에 이상이 생기게 되고 혈관 박동에 따라 눈과 입 주변 등이 경련하는 안면 경련이 발생한다.

대부분 경우 이런 현상의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 다만 스트레스와 긴장 상태의 반복은 신경에 부담을 가하는 주요한 자극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직장 생활과 사회적 압박 등 스트레스에 취약한 2040 젊은 청년층에서 안면경련을 겪는 비중이 높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

문제는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안면경련은 마그네슘 부족으로 인한 눈 떨림과는 달리 국소 부위에서 시작하지만 점차 다른 얼굴 부위로 진행되기도 해 생활에 불편을 끼칠 가능성도 더 높다. 증상을 오래 방치할 경우 안면 비대칭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은 물론 심하면 안면마비, 미각과 청각 손실까지 불러올 수 있다. 또 치료 후 회복에도 시간이 더 소요될 가능성이 커 주의가 필요하다.

안면경련은 증상이 한쪽 얼굴에 집중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긴장을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증상이 더 심해지고, 잠을 자는 중에도 증상이 계속되는 것 역시 안면경련의 특징이다. 충분한 휴식과 영양 공급 후에도 눈떨림이 지속되는 것도 의심 증상 중 하나다.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면 안면경련을 의심해 보고 신경외과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안면경련의 진단은 신경과 혈관을 관찰하고 진단할 수 있는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MRA) 뇌영상 검사를 통해 이뤄진다. 이를 통해 혈관이 뇌신경을 압박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치료법으로는 약물, 보톡스를 통해 운동 신경을 억제하고 근육의 수축을 막는 비수술적 요법과 안면경련의 원인 자체를 제거하는 수술적 치료법이 대표적이다. 다만 약물 치료와 보톡스의 경우 치료 효과가 지속되기는 어렵다.

안면경련 치료를 위해 주로 시행되는 수술은 혈관과 뇌신경 간 거리를 물리적으로 떨어뜨려 안면 경련의 원인 자체를 없애는 ‘미세혈관감압술’이다. 보통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고 비수술적 요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 수술적 요법을 진행하게 된다. 수술은 주로 국소 절개를 통해 진행된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 직후부터 떨리는 증상이 즉각 사라지는 효과를 볼 수 있고 수술 성공률은 95% 이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 원장은 “스트레스로 인한 안면경련은 신경이나 혈관 자체에 기능적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외부적 자극을 받아 나타나는 증상”이라며 “신경과 혈관을 분리해 원인적 요소를 제거하는 미세혈관감압술로 충분히 완치가 가능한 만큼 경험 많은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빠르게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