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문화유산 지정 예고는 전남도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민족의 얼이 담긴 항일독립유산의 지속 가능한 보존 및 활용 체계를 구축하고자 추진했던 항일독립유산 문화유산지정 사업이다.
‘고흥 만경암 항일 의병 전적’은 고흥의 대표 명산인 팔영산 기슭 흔들바위 근처에 있는 능가사의 산내 암자 터다. 1909년 한말 전남지역 의병 항쟁의 후반부 저항지로서 전투 상황이 문헌에 구체적으로 남아 있어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이 암자 터는 지형적 특성과 방어적 입지 조건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능가사의 주도로 진행되는 만경암 항일의병 순국선열 합동 위령제는 독립운동 정신과 지역 역사교육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 전국 각지에서 항일의병이 봉기하는 가운데, 고흥 지역에서도 팔영산을 중심으로 의병들이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당시 고흥에서 활동하던 신성구 의병대장은 약 120명의 의병부대를 조직해 항일 활동을 이어갔으며, 이들은 만경암에 주둔하고 있었다.
1909년 7월 7일 오후 6시, 이들의 위치를 파악한 일본군 토벌대가 기습 공격을 감행하면서 격전이 벌어졌고, 전투는 다음 날인 8일 오후 8시까지 약 26시간 동안 이어졌다. 이 전투로 16명의 의병이 전사했으며, 만경암 일대는 고흥 항일의병의 치열한 투쟁을 보여주는 역사적 장소로 남게 됐다.
이번 고흥 만경암 항일 의병 전적은 30일간의 예고기간 동안 각계각층의 의견을 청취한 뒤, 전라남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우리 지역은 그동안 근대유산으로서 항일의병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앞으로 국내외 자료 조사, 구술 기록 수집, 전문가 협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항일의병과 독립운동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발굴·정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용규 기자 nice5685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