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전국 평균 기온 25.7도 1위 경신…평년보다 2도 높아
검색 입력폼
전국

올 여름 전국 평균 기온 25.7도 1위 경신…평년보다 2도 높아

기록적인 호우와 가뭄이 발생…지역 양극화
북태평양고기압·티베트고기압 확장이 원인
강원영동 강수량·강수일수 역대 최저

[나이스데이] 올 여름은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1위를 경신하는 등 폭염이 이어졌다. 또 기록적인 호우와 가뭄이 발생하는 등 지역 양극화가 뚜렷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여름철(6~8월) 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번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은 25.7도로 역대 최고 1위를 경신했고 평년보다 2도 높았다.

올해는 이례적으로 이보다 한 달가량 일찍 더위가 발생했다. 6월 29일부터 7월 10일까지 2주가량 전국 일평균기온은 1위를 기록했다.

7월 하순과 8월 중하순에는 낮 동안 기온이 크게 올랐고 밤에도 높은 기온이 이어지며 밤낮으로 무더위가 지속됐다.

8월 하순의 전국 평균기온도 27.8도로 평년보다 3.9도 높아 역대 최고 1위를 경신했고 강릉, 대관령 등 13개 지점에서는 8월 하순 일최고기온 극값을 경신했다.

이른 더위가 나타난 것은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과 대기 상층에서의 북반구 중위도 지역의 정체된 고기압 구조 형성이 원인이다. 7월 하순부터는 티베트고기압의 영향도 더해지면서 기온이 더욱 상승했다.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일찍 확장하고 여름철 동안 우리나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 데에는 열대 서태평양의 대류 활동 강화와 북태평양의 높은 해수면온도가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름철 전국 폭염일수는 28.1일로 평년보다 17.5일 많았다. 남부지방과 동해안을 중심으로 20개 지점(구미, 전주, 강릉 등)에서 관측 이래 가장 많은 폭염일수를 기록했고 대관령은 1971년 관측 이래 처음으로 폭염이 발생했다.

전국 열대야일수는 15.5일로 평년보다 9일 많았다. 특히 서울은 열대야일수가 평년(12.5일) 대비 3.5배가 넘는 46일로 1908년 관측 이래 가장 많았다. 부산, 인천, 강릉, 속초, 목포, 청주에서도 관측 이래 열대야일수가 가장 많았다.

여름철 전국 강수일수는 29.3일로 평년보다 9.2일 적었고, 강수량은 619.7㎜로 평년(727.3㎜) 대비 85.1%로 적었다.

특히 7월 중순과 8월 전반에는 극값을 경신하는 등 기록적인 호우가 발생했다.

올해 장맛비는 평년보다 일찍 시작되고 일찍 종료됐다. 제주도는 6월 12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은 6월 19일에 장마철이 시작돼 평년보다 각각 7일, 6일, 4일 빨랐다.

제주도는 역대 가장 이른 6월 26일, 남부지방은 두 번째로 이른 7월 1일에 장마가 종료됐고 장마철 기간이 각각 15일과 13일로 역대 두 번째로 짧았다.

강원영동 지역은 강수량이 232.5㎜로 평년(679.3㎜)의 34.2% 수준, 강수일수도 24.7일로 평년보다 18.3일 적어 여름철 강수량과 강수일수 모두 역대 가장 적었다.

강원영동은 태백산맥으로 인한 지형효과로 강수량이 더욱 적었고 여름철 동안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남서풍이 우세하여 동풍 계열의 바람이 불지 않아 강수량이 매우 적었다.

한편 여름철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는 23.8도로 최근 10년 중 두 번째로 높았다.

이미선 기상청장은 "지역별로 폭염, 집중호우, 가뭄 등 여러 극한 현상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기상청은 기후변화로 달라지는 기상재해의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고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