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첫 비대위 회의에서 "다시 한번 피해자분들께 깊이 사과드린다. 당이 법률적 절차와 판단에 치중해서 마음을 읽지 못했다는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소통·치유·통합'의 세 가지 원칙 위에서 공동체적 해결을 위한 다양한 조치에 나서겠다"며 "우선 앞으로 당내에서 피해자의 실명 거론을 금지한다. 2차 가해도 당 차원에서 단호하게 조치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일부 언론과 유튜브의 악의적 보도를 용납하지 않겠다"며 "피해자를 악용하고 동시에 당을 공격하는 정략적 의도로 보여 오늘 실무 기구를 출범시키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조 비대위원장은 발언 직후 성 비위 사건 가해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된 김보협 전 수석대변인이 가해 사실을 부인한 것과 관련한 물음에 "김 전 대변인에 대한 제명이라는 당의 결정은 변함이 없고, 앞으로도 변함이 없을 것이다. 비대위는 피해자의 회복, 치유를 위해서 매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첫 비대위 회의에는 서왕진·엄규숙 부위원장과 김호범·우희종·윤솔지·정한숙 위원 등이 참석해 당 수습 방안 등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당 내외 2차 가해·가짜뉴스에 대응하는 관련 대응단을 출범시키고, 당내에서 피해자 실명을 거론하는 등 2차 가해를 하는 경우 징계 대상으로 삼는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가칭 고충심의위원회를 설치하기 위한 '공동체 회복을 위한 당규 제정' 작업도 실시하고, 탈당한 피해자의 의사가 확인될 경우 당적 등을 원상복구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전국 시도당별 당원간담회도 즉시 추진한다. 박병언 대변인은 이날 회의 도중 기자들과 만나 "모든 당원이 비대위원이란 기조를 정했다"며 "피해자 회복을 중심으로 당원·당직자·지지자도 상처를 받았다. 그 상처를 함께 치유하는 공동체 회복 과정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이번주에는 비대위원회가 당직자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이고, 빠르면 이번주부터 서울시당을 시작으로 비대위원회·의원단 당원간담회가 시작될 예정"이라고 했다.
당초 예상됐던 11월 전당대회에 대해서는 "오는 11월 23일로 예정한 전당대회 (일정) 변경은 논의된 바가 현재까지 전혀 없다"며 "비대위의 신뢰 회복 활동 (기간을) 축소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가라는 의견이 있을 수 있고 (한편으로 보면) 비대위 활동이 길어지는 것도 적절하지 않아서 양자를 고려하면 원래의 예정대로 갈 확률이 높지 않겠냐는 당직자들의 검토가 있을 뿐인데 이는 비대위원들이 향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