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1시간 이상 근무, 심근경색 위험 1.6배 증가"…급성심정지 매년 3만건↑
검색 입력폼
건강

"하루 11시간 이상 근무, 심근경색 위험 1.6배 증가"…급성심정지 매년 3만건↑

급성심장정지, 매년 3만건 이상 발생
"생활습관·근무환경 개선하면 예방"

[나이스데이] 질병관리청은 하루 11시간 이상 근무시 급성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며 과도한 연속 근무 등을 자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질병청은 18일 심장 건강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건강한 생활습관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카드 뉴스를 배포했다.

급성심장정지는 갑작스럽게 심장 기능이 중단되며 혈액순환이 멈추는 응급 상황으로, 적절한 대처가 없을 경우 급작스러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병청 2023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에 따르면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013년 2만9356건에서 2023년 3만3586건으로 증가했으며 매년 3만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질병청에 의하면 근무 형태와 근무 시간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과 관련이 있다. 야간·저녁 근무, 과도한 연속 근무는 급성심장정지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한 국외 연구에서는 하루 11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일반적인 근무 시간 대비 급성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약 1.63배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질병청은 일상에서의 예방수칙으로 ▲금연 ▲주 1회 이상 중등도 또는 고강도 운동 습관 ▲하루 6~8시간의 충분한 수면 ▲하루 1회 이상 과일, 채소 섭취 ▲붉은 육류 섭취를 줄이기 등을 제시했다.

직장에서는 과도한 연속 근무를 자제하고, 저녁·야간 근무 최소화, 업무 후 충분한 휴식 및 수면 등을 강조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급성심장정지는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지만 생활습관과 근무 환경을 개선하면 예방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직장 내 건강한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