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광주·전남 지역의 폭염일수는 29.6일로 평년 22.3일 대비 크게 늘었으며 국지성 호우 또한 빈번히 발생했다. 이러한 기상여건으로 2011년 이후 14년만에 주암호에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경보 발령 이후, 영산강유역환경청은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과 함께 △수면 부유물 제거 △물순환장치 확충(19대→30대) △조류제거선 추가 투입 등 적극적인 녹조 대응으로 조류 경보를 발령 4주만에 해제(2회 연속 1,000세포 미만)할 수 있었다.
주암호 물을 공급받는 정수장은 조류 기인 냄새물질 등을 제거하는 장비가 이미 구축되어 있으며 경보 발령 이후 수질검사를 월 1회에서 주1회로 강화함에 따라 조류경보기간 동안에는 수돗물 피해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아울러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주암호 및 영산강 상류 등을 녹조 중점관리 지역으로 지정하고, 근본적인 녹조저감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단기적으로는 가축분뇨시설, 개인하수처리시설 등 오염원 관리 취약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야적퇴비 적정보관 및 농경지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물꼬 최적관리 시범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가축분뇨를 퇴․액비 처리 방식에서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등 에너지화 시설로 전환하고, 관로 분류식화, 마을하수저류시설 등 하수도 시설 확충과 함께 하수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영우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기후 위기 시대에 매년 다시 녹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관계기간과 빈틈없는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근본적 오염원 저감 대책을 조속히 확정하여 녹조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자형 기자 ljah999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