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고 등 전소 96개 구축에 '4주' 소요…파급 큰 44% 복구"
검색 입력폼
탑뉴스

"신문고 등 전소 96개 구축에 '4주' 소요…파급 큰 44% 복구"

김민재 행안차관, 국정자원 화재 브리핑
국가법령센터 등 96개 시스템 목록 공개
647개 중 62개 복구…1등급 44% 정상화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운반? "사실 아냐"
배터리 교체 안했나 "쓸 수 있겠다 판단"

[나이스데이] 정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직접 영향을 받은 국민신문고 등 96개 정부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과 시스템 구축까지 최소 4주 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아직 복구되지 않은 많은 시스템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계신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이번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대전 본원의 647개 시스템 중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시설로 이전하는 작업을 본격 추진 중이다.

김 차관은 이와 관련해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대구센터 입주기업 협조 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정부는 전소로 장기간 장애가 예상되는 96개 시스템 목록도 공개했다.

해당 시스템은 1등급으로 파급 효과가 가장 큰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국민신문고(국민권익위원회의), 안전디딤돌(행안부), 통합보훈(국가보훈부) 등이다.

김 차관은 "국민신문고, 통합보훈 등 민원신청 시스템은 방문·우편 접수 등 오프라인 대체 창구를 운영 중"이라며 "국가법령정보센터는 대체 사이트를 안내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각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는 수기처리 절차를 마련하는 등 대체적 행정수단들을 강구해 무엇보다 국민께서 불편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업무에 임하겠다"며 "장애를 신속히 복구하고 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낮 12시 기준 가동이 중단된 647개 시스템 중 정상화된 시스템은 62개다.

이 중 1등급은 정부24(행안부), 모바일 신분증(행안부), 주민등록시스템(행안부), 인터넷 우체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편 물류(과기정통부) 나라장터(조달청) 등 16개다. 전체 36개 중 44.4%가 정상화됐다.

2등급은 91개 중 우체국 금융인 인터넷 예금 등 9개가 복구됐다. 3등급은 291개 중 28개다. 영상 등 119 다매체 신고 시스템, 공직자 통합 메일 시스템 등이다. 4등급은 229개 중 노인 맞춤형 돌봄 시스템 등 9개다.

김 차관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던 우체국 우편, 금융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복구됐다"며 "주민등록증 발급 등 국민께서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하는 정부24 서비스도 이날 오전 복구됐다"고 전했다.

대전센터 복구 작업은 공무원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현장에 투입 중이다.

김 차관은 "화재 영향이 적은 1~6전산실(2~4층) 시스템부터 재가동 중"이라며 "5층(7-1 전산실 등) 전산실은 분진 청소 후 재기동을 계획 중"이라고 했다.

그는 다만 "서버 등 정보 시스템은 정전기, 물에 취약하기 때문에 전문 업체가 작업한다"며 "이 작업은 1~2주 정도 소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화재가 무자격 업체의 리튬 이온 배터리 운반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일각의 보도에 대해서는 "확인 결과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차관은 "배터리 이전 준비 중 화재가 발생했고, 이 때 작업자는 자격을 보유한 전문 기술자이자 화재 부상자이기도 하다"고 부연했다. 아르바이트생 다수 투입 등 의혹도 제기됐지만 실상은 전문 인력이 투입됐다는 것이다.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가 사용 기한을 넘겨 지난해 6월 교체 권고를 받았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사용된 것으로도 확인됐다.

행정부에 따르면 이번에 불이 난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이 2014년 생산해 판매 업체인 LG CNS에 납품했다. 사용 기한(10년)이 이미 1년을 넘겨 LG CNS가 교체를 권고했으나, 그대로 사용했다는 얘기다.

국정자원은 "발화된 배터리는 지난해와 올해 정기검사 결과에서 모두 정상 판정을 받았다"며 "다만 지난해 6월 정상 판정을 받으면서 교체 권고를 받은 것은 맞다"고 밝혔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가 그 외 배터리들은 전부 내구 연한이 도래하지 않았다"며 "2017년 배터리가 같이 있는 상태에서 1~2년 더 쓸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실제 이상 상태 여부와 관계 없이 모든 배터리 제품에 대해서는 권장 기간을 지켜 사용하겠다"며 "조금 더 주의 깊게 살펴보지 못한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