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휴 기간 몸이 아플 경우에는 먼저 동네 병·의원이나 작은 응급실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지난달 말 기준 지역응급의료기관 232개소, 응급의료시설 113개소 등 작은 응급실이 운영되고 있다.
경증인 경우 방문한 기관에서 의사의 판단에 따라 치료를 받으면 되고, 병원 진찰 결과에 따라 중증질환이 의심된다면 큰 병원으로 이송 절차를 밟아야 한다.
'응급똑똑' 앱에서 현재 겪는 증상 정보를 입력하면 중증환자는 응급실 방문을 안내 받을 수 있다. 경증환자에겐 가까운 병의원 우선 방문 안내 및 자가 응급 처치 정보가 제공된다.
또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병·의원, 달빛어린이병원, 응급실 등의 진료과목, 진료여부 등 의료시설 정보를 제공하며, 연휴 기간에도 문 여는 병·의원 및 약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검색하면 설치할 수 있다.
12세 이하 소아가 갑자기 아프다면 '아이안심톡(http://icaretok.nemc.or.kr)'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소아·응급 전문의 등 전문의료인이 24시간 상담을 제공한다.
증상 분류 결과 상담보다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119신고나 의료기관 이용이 안내된다.
상담으로 가능한 경우엔 일대일 게시판에 문의해 의료진으로부터 응급처치, 상비약 이용 안내, 추가 조치 사항 등을 게시판 답글 또는 전화로 안내 받을 수 있다.
다만 호흡곤란, 갑작스런 팔다리 저림, 혀 마비 등 중증질환에 동반되는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119에 신고하는 게 좋다. 119 구급대 판단에 따라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119로 신고하면 의학적인 상담이 가능하니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휴 기간 전국에서 하루 평균 8800개소의 병·의원이 운영된다. 추석 당일엔 2210개소가 운영된다.
이와 관련한 정보는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과 응급똑똑앱, 보건복지부 콜센터, 시도 콜센터 등을 통해 찾을 수 있다. 의료기관 방문 전 미리 전화로 상황을 확인한 뒤 가는 게 좋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