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최 위원장에 대해 "지난 과방위 국정감사 도중 피감기관 증인을 퇴장 시킨 일에 대해서 정청래 대표가 상임위원장과 직접 통화했다"며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대표가 직접 경위 파악을 위해 직접 전화한 자체가 당 지도부의 염려, 국민의 염려를 전한 메시지였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경위 파악 결과와 향후 지도부 조치 문제는 국정감사가 끝난 이후에 여러가지 의견을 들어볼 것으로 생각한다"며 "물론 그렇게 정해졌다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흐름이 수석대변인 입장에서 정리하는 과정은 있지 않겠나라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감 중 증인 퇴장 조치에 이어 딸 결혼식 축의금 논란까지 터져 당 지도부 차원의 '경고'를 받은 최 의원이 과방위원장을 자진사퇴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최 의원은 "사퇴 안 한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최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저로서는 지금 이게 무슨 상황인지 (모르겠다)"며 "나 사퇴 안 한다.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최 위원장의 딸 결혼식 축의금 논란이 불거진 이후 '죄가 없는 자 돌을 던져라'는 취지의 페이스북 게시물을 올린 것에 대해 "국정감사장에 있었던 일, 국정감사 도중 국회에서 자녀 혼사를 치른 일, 이 문제에 대한 비판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하게 했다"고 말했다.
이어 "축의금을 부적절한 이해충돌 우려가 있는 경우를 골라내 환급한 사진을 두고 야당에서 고발한다는 기사를 보고, 다른 부분에 대한 평가는 보류하고라도 그 문제만큼은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것 아닌가, 야당의 평가가 너무 야박한 것 아니냐는 아주 제한적인 부분에서 말씀드렸다"고 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같은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서는 '최민희 위원이 과방위원장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는 국민의힘 주장에 대한 입장'을 질문 받고 "현재는 (입장 정리된 것이) 없다"면서도 "한번 정리가 필요하다는 건의를 당 지도부에 드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 의원이 '노벨생리의학상과 노무현 정신, 그리고 깨시민(깨어 있는 시민)'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가 노무현 전 대통령 사위인 곽상언 의원의 '적어도 엿장수 마음이 노무현 정신은 아닐 것'이라는 비판에 삭제한 것을 두고 "한번쯤 메시지를 참아주셨으면 어땠을까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뉴시스
2025.10.29 (수) 23: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