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발 1,222m 광양 백운산 자락에는 천년의 숲길, 섬진강 매화길, 외갓집 가는 길 등 둘레둘레 걸을 수 있는 총 126.36km, 특색있는 9개 코스 둘레길이 있다.
특히, 은빛 억새가 온 능선에 일렁이고, 탐스런 감이 햇살을 머금고, 앙증맞은 들꽃이 지천으로 피어나는 가을은 그림 같은 남도의 정취를 오롯이 느낄 수 있다.
제1코스 ‘천년의 숲길’ 은 옥룡사지~외산마을~백운산자연휴양림~금목재~논실로 이어져 푸른 백운산에 안겨 오래 걷고 싶은 길로 총 10.86km 길이로 약 4시간 소요된다.
제2코스 ‘만남이 있는 길’ 은 논실마을에서 한재와 중한치마을을 거쳐 하천마을로 이어지는 총 11.4km 규모로 4시간 정도 소요되며 곧게 뻗은 전나무가 인상적이다.
제3코스는 남도대교에서 매화마을까지 이어지는 ‘섬진강 매화길’로 반짝이는 윤슬이 한 폭의 수채화처럼 펼쳐지는 총 20.3km 코스로 약 7시간 정도 소요된다.
제4코스 ‘백학동 감꽃길’은 매화마을에서 백학동 마을까지 수어호의 잔잔한 물결과 학이 날개를 펼친 듯한 억불봉을 조망하며 걷는 7.2km, 2시간 30분의 가벼운 코스다.
특히, 가는 곳마다 줄지어 선 감나무에는 붉게 익은 감이 가지가 부러지도록 주렁주렁 열려 가을의 풍요와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
제5코스는 백학동마을~웅동교~죽양마을~국사봉랜드로 이어지는 ‘외갓집 가는 길’ 로 어머니 품처럼 푸근하고 따뜻한 정서가 넘쳐나는 14.4km, 5시간 코스다.
옥룡사지~대방마을~대치재~국사봉랜드를 걷는 제6코스 ‘선비누리길’은 옛날 과거를 보러 가는 선비들이 짚신을 신고 대치재를 넘은 데서 얻은 이름으로 옛 선인들의 발자취를 더듬을 수 있는 12.7km, 4시간 코스다.
제7코스 ‘중흥사 토성길’은 옥룡사지~추산시험장~중흥사~쌍의사~하조마을을 잇는 코스로 광양의 역사와 문화를 엿보고 사색하며 걷을 수 있는 12.7km, 4시간 코스다.
제8코스 ‘달 뜨는 길’은 하조마을~성불교~월출재를 잇는 총 8.4km, 4시간 코스로 성불계곡의 맑은 물소리와 성불사의 그윽한 풍경소리에 이끌리는 사색코스다.
종점인 월출재는 광양과 구례의 경계로 대중교통 이용이 어렵기 때문에 원점 회귀나 사전 이동수단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제9코스인 ‘함께하는 동행길’은 월출재에서 출발해 효죽마을, 중평마을 등을 지나 하천마을에 이르는 총 25.4km의 대장정으로 완주까지 8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이현주 관광과장은 “가을빛이 깊어가는 백운산 둘레길은 억새와 탐스런 감, 들꽃이 어우러져 남도의 고즈넉한 정취와 사색의 여유를 선사한다”며 “걷기는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단련시키는 여행이자 아름다운 자연 풍경 속에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이라며 “일상에서 벗어나 천천히 걸으며 광양의 자연과 역사, 마을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며 여행의 즐거움을 느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손태성 기자 sts8000@naver.com
2025.11.03 (월)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