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라도 올리려면" 광주·전남 지선 출마자들 '직함 전쟁'
검색 입력폼
탑뉴스

"1%라도 올리려면" 광주·전남 지선 출마자들 '직함 전쟁'

'지방의회 의장' 대신 중앙당 당직, 대통령 직속기구 직함 선호
명함파기용 지적에 '현직' 택하기도…"간판보다 공약·됨됨이를"

[나이스데이] "지지율이 계속 떨어져 걱정이 태산입니다. 1%라도 더 올리려면 아무래도 대표 직함을 바꿔야 할 거 같아요."

광주의 한 구청장 선거 출마 예정자의 하소연이다. 광주시 서열 2위인 광역의회 의장 출신인 그는 의장 명함으로도 여론조사 지지율이 한 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하자 고심 끝에 전략을 바꿨다.

'더불어민주당 ○○○○ 부위원장'. 전직 지방 기관장 직함을 뒤로 하고 중앙당 당직 타이틀을 택했다.

지지율 반등의 기대감도 담겼지만 컷오프(공천 배제) 없이 권리당원 투표 100%를 반영하는 예비경선 룰이 가시화되면서 당심(黨心)이 중요해진 점도 심리적 영향을 끼쳤다.

또 다른 구청장 도전자도 하위권을 맴도는 지지율에 "이대로는 안된다"는 판단에 '전 광주시의회 의장' 대신 '민주당 중앙위원' 직함을 내걸기로 마음을 고쳐먹었다.

전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한 서남권 시장 선거 출마예정자는 '전 전남도의회 의장' 대신 현직인 '○○○○대학 총장'을 최우선 직함으로 애용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위원회 직함도 인기가 높다. 전직 광주시의원과 전남 지자체 간부 공무원 등이 이같은 직함을 간판으로 내세우고 있다.

거꾸로 중앙당 당직을 버리고 현직을 앞세우는 후보들도 있다. 중앙당 직함이 퍼주기식, 명함파기용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심적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광주의 한 기초단체장 출마 예정자는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대신 '전 대통령직속 ○○○○위원회 자문위원' 직함을 이력서 맨 윗줄에 명시하고 있다.

한 출마 예정자는 4일 "'노무현 직함' 논란이 여론조사 보이콧 사태로까지 번진 광주교육감 선거전에서 알 수 있듯 직함은 여론조사와 후보 인지도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그러다보니 후보들의 직함 전쟁, 대표직함 스트레스는 선거 때마다 되풀이되고, 논란도 끊이질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간판과 직함, 경력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정책과 공약, 후보 됨됨이가 보다 중시될 때 투표 실효성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