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관계자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2024학년도와 달리 2025학년도에는 특례가 없고 학칙에 따라 처리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꼭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 복귀 시한과 관련해 "학교별로 복귀시한이 달라서 교육부가 말하는게 적절치 않다"면서도 "의총협(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회장인 전북대(양오봉 총장)에서 3월 28일까지 돌아와야 한다고 했기 때문에 그 시점을 중요하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일부 학생들이 1학점을 등록하는 등 '꼼수 복귀' 사례들이 나타나는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서도 교육부가 방안을 내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언급했다.
제적 이후 재입학과 관련해서는 "학교 별로 입장이 다르다"라며 "여석이 있을 때 재입학 시험 통해서 결정되고 제적됐다고 무조건 다 재입학되는 것은 아닌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한까지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을 경우, 재정 이런 것에 대해 교육부가 대비를 할 것은 없고 학생들이 최악의 상황으로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학생들이 돌아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부 학생만 돌아올 경우 정원 협의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고 담당 국장은 1명까지 다 돌아오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며 "지금 단계에서 말하기 어렵고, 나중에 판단을 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정부는 지난 7일 이달 말까지 학생들이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달 말까지 입대, 임신·육아, 질병 등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한 모든 학생이 돌아와야 하며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6학년도 모집정원을 2000명 늘린 5058명 그대로 선발할 예정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