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는 11개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거점형 돌봄기관 52곳을 지정·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간 돌봄 연계를 확대하고 기관별 특성을 활용해 학부모의 다양한 돌봄 수요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됐다.
거점형 돌봄기관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에서 거점기관을 지정해 이른 아침, 늦은 저녁, 휴일에도 돌봄이 필요한 인근 기관 유아를 대상으로 추가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인근 기관과 협약을 맺어 어린이집과 유치원 구분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부모들이 보다 유연하게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올해는 돌봄기관이 부족하거나 지리적 접근성이 낮아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지역을 우선 지정해 학부모들의 돌봄 공백을 해소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각 기관의 여건과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모 절차를 거쳐 52개 기관을 선정했으며, 교육청 및 기관별 상황에 맞춰 4월부터 순차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지정된 거점형 돌봄기관은 인근 어린이집 및 유치원과 협력해 학부모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아침과 저녁 출퇴근 시간대를 지원하는 돌봄 서비스와 토요일 및 휴일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3~5세 유아를 위한 특성화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 교육과 보육의 질을 높일 계획이다.
교육부는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거점형 돌봄기관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지역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거점형 돌봄 지원단을 운영해 상담 및 컨설팅을 제공할 방침이다.
박대림 교육부 영유아지원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부모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돌봄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