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후보 외교·안보보좌관인 김 전 차장은 이날 오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 행정부 고위관료들과 회담했다고 밝혔다.
김 전 차장은 "장시간 회의를 했다"며 "민주당 측 외교안보 정책을 자세히 설명했고, 미국 측에서는 한국에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들었다. 대화는 잘 됐고, 서로간 이해를 충분히 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설명했다.
아직 한국 대선이 한달 가까이 남은 시점임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특정 후보 측과 접촉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행보로 평가된다.
김 전 차장은 이재명 후보 메시지를 백악관에 전달하는 역할을 맡았는데,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한미일 협력관계를 지속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차장은 어떤 얘기를 미측에 전달했냐는 질문에 "이(재명) 대표가 여러가지 언급을 했는데, 그 중 하나가 뭐였냐면 한미일 협력은 지속적으로 해야한다"는 점이었다고 답했다.
이어 개인적인 표현이라고 전제한 뒤 "한미일 관계는, 특히 일본하고도 협력 관계를 더 강화해야 된다. 저는 상황이 상황인 만큼 한국하고 일본이 긴밀하게 협력을" 해야한다고 봤다.
그러면서 일본 막부시절 대립관계였던 사츠마번과 조슈번이 협력했던 것처처럼 한일이 "그 수준에서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국 입장에서 한미일 협력이 매우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 측에 이재명 후보 같은 경우, 한미일 협력관계를 유지할 것이고, 가급적이면 더 강화할 필요도, 방법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을 했다"고 부연했다.
회담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관세 문제를 둘러싼 한미간 통상회담, 대북정책 등에 대한 논의도 오간 것으로 전해진다.
김 전 차장은 "관세 이슈에 대해 우리가 동맹국으로서,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국가로서, 특히 자동차, 부품 관세에 대해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해결해야 된다는 것을 언급했다"며 "또 조선 등 안보분야에서 질적으로 우리의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한국에 부과된 25% 상호관세를 두고는 "FTA 체결국 중에서 가장 높은 관세율이다. 이게 과연 맞는지에 대해 언급을 했다.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이런 것에 대한 품목 관세는 없어야 한다. 지금 한미 FTA를 통해 미국 상품, 특히 농산물은 무관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제 자동차를 수출하면 25%가 부과된다. 이것은 어떻게 보면 더블 페널티"라며 "이런 것을 협상가들이 협상을 잘 해야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선일정을 감안해 협의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의견도 전달했냐는 질문에는 "(상호관세가 유예된) 90일, 7월6일이죠. 그래서 제가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다고 언급은 했다"고 했다.
이에 미국 측은 고개를 끄덕이며 반응했다고 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문제를 방위비 등 안보 이슈와 연계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협상 전략에 대해 코멘트하기는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대응할 수 있는 준비는 포괄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대북 정책과 관련해서는 "어제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쐈는데, 우리가 규탄하는 것에 대해 똑같은 생각을 미국하고 갖고 있다"며 "유엔 결의안 위반이고, 북한이 이제 그만 발사를 자제했으면 좋겠다고 얘기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개인적으로는 이제 우리도 비대칭 재래식 무기를 더 강화시켜서, 대응할 필요가 있을 때는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북미 대화 재개나 중국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고 한다. 다만 주한미군 위상이나 역할, 감축과 관련한 논의가 있었냐는 질문에는 "그거에 대해서 제가 코멘트(언급)를 하지 않겠습니다"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