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고용부 소관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에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 추가 편성됐다.
기존 예산 7772억원에서 254억원 늘어난 8026억원이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취업애로청년 등을 채용한 중소기업과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에 취업한 청년을 각각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용부는 올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으로 10만명의 청년을 지원할 계획이었는데, 이번 추경을 통해 대학교 졸업예정자(7000명)도 새롭게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최근 심화되고 있는 청년 구직난과 더불어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며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이 더 어려워졌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제도는 중소기업 현장에서 호응이 좋다.
2023년부터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한 업체는 만성적인 구인난을 겪었는데, 정부 지원금을 활용해 신입사원 연봉을 인상하는 등 청년들을 위한 복지를 개선했다.
그 결과 청년 구직자의 입사 지원이 꾸준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
제도 대상으로 선정돼 직업훈련을 받고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에 취업한 한 청년의 사례도 있다.
아울러 고용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청년에 대한 근속 인센티브를 조기에 지급해 청년구직자와 기업 모두에게 도움을 줄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재직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차로 나누어 각 120만원씩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홍경의 고용부 청년고용정책관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통해 청년들이 보다 빨리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취업 후에도 근속 인센티브, 직장적응 교육 등을 통해 청년들이 중소기업에서 장기 근속해 중간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