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에서 '국민이 놀랄 정도의 변화를 보여주겠다고 했는데 어떤 변화인가'라는 질문에 "당통 관계 정상화를 중심으로 협치형 정부를 말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그는 "여당이라는 것이 행정부와 입법부의 관계도 있고, 여당과 야당이라는 관계도 있어 두 가지의 행동을 하다 보니 사실 그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비판들도 있었고 여당의 역할을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잘못해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문수 정부가 출범한다면 이 협치형 정부를 기반으로 해서 정말 국민들이 원하는 건강한 권력관계를 보여드리려 한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출당과 관련해서는 어떤 취지의 입장을 밝힐 예정인가'라고 묻자 "탈당·출당도 중요하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당과) 대통령의 관계가 아닐까 싶다"고 답했다.
이어 "과거 문재인 정부 같은 경우에는 청와대 출장소라고 민주당이 비판도 받았었고, 지난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도 비슷한 비판을 받아왔다"며 "이번에 건강한 여당의 모델을 확립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요구하는 보수층의 요구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는 "탄핵은 정당했다는 것은 많은 국민들이 인정하는 것 아니겠나. 그렇다면 이것을 넘어가기 위한 과정들을 이번 주 안에 다 끝내겠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의 스스로 결단하지 않고 남아 있다면 출당 조치도 할 수 있느냐'고 재차 물으니 "그런 문제가 발생한다면 여러 가지 다른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며 "당이 할 수 있는 방안은 많다"고 답했다.
한동훈 전 대표의 선대위 합류 여부와 관련해서는 "오늘 관계 정상화에 대한 발표를 하고 그 이후에 직접 연락 서 모실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김건희 여사가 검찰의 출석 요구에 불응한 데 대해서는 "수사에는 성역이 없어야 한다"라며 "많은 국민들이 여사라든지 전 대통령에게 아직도 남아 있는 기대는 법 앞의 공정 수사에 성역이 없다는 것을 보여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