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은 설난영 여사와 김혜경 여사 두 후보 배우자의 TV 토론을 제안한다"며 "TV 토론은 사전 투표 전에 이뤄지길 희망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의 입장을 오는 23일까지 밝혀주시길 정중히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영부인은 단지 대통령의 배우자가 아니다"라며 "때로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을 향한 배려와 공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상징적 역할을 수행했고, (영부인의 발언이) 국가 정책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정치에서 영부인의 존재는 오랫동안 검증의 사각지대에 있었다"며 "지난 시기 대통령 배우자 문제는 국민께 희망보다는 실망을 드렸고, 통합보다는 분열을 안겨드리기도 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더 이상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대통령 배우자의 사회적 영향력은 크지만 이에 대한 검증은 턱없이 부족하다. 영부인 역할과 관련한 법적 규정도, 제도도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성과 아동,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 철학은 물론, 영부인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각자의 견해를 국민 앞에서 진솔하게 나눠주시길 기대한다"며 "이 토론은 특정 배우자를 겨낭한 게 아니다. 대한민국 정치 문화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국민의 알권리를 제도화하는 첫걸음"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김문수 후보 배우자인 설난영 여사와 사전 협의가 된 것인지 묻자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차원에서 후보 측하고도 충분히 교감을 이뤘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 대선 때도 김건희 여사 등 배우자 논란이 있었지만 검증 절차가 없었다는 지적에는 "그때는 제가 비대위원장이 아니었다. 제가 국민께 빠르게 놀랄 만큼의 변화를 보여드리겠다고 약속드렸다"며 "대한민국 영부인이 가진 사회적 위상과 역할이 있고, 그로 인해 많은 갈등과 분열이 있었다. 저희도 반성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아울러 "그간 대한민국에서 영부인의 역할과 관련해 어느 정부를 막론하고 여러 가지 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모든 걸 담아 국민의 알 권리 실현을 위해 제안한다. 이재명 후보 측도 23일까지 빠르게 답을 주실 수 있도록 부탁드린다"고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배우자가 없어 형평성 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는 "그 부분은 개혁신당이 특별히 추가할 수 있는 부분과 의견이 있으면 같이 검토하겠다"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