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측 응답 없어도 표류 北주민 6명 곧 해상 송환
검색 입력폼
탑뉴스

정부, 북한측 응답 없어도 표류 北주민 6명 곧 해상 송환

동·서해 표류 주민 6명, 귀환 의사 확고
타고 온 목선 이용해 자력 항해로 넘어갈 듯

[나이스데이] 정부가 동해와 서해에서 표류하다가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조만간 송환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통일부 등 관계당국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표류한 북한 주민 2명과 5월 동해에서 구조된 4명을 해상을 통해 돌려보내기로 했다. 이들은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확고한 의사를 밝혀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동서해상에서 구조된 북한주민 6명 모두 북한으로 귀환을 적극 희망하는 만큼,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조속하고 안전하게 이들을 송환한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밝혔다.

귀환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북한 주민들이 남한에 체류하는 상황이 장기화된 데 따라 정부는 송환 방법을 고심해왔다.

남북 간 연락 채널이 단절된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유엔사와 북한군 간 직통전화인 '핑크폰'으로 송환 관련 통화를 시도했지만 북한은 답하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 2023년 4월 일방적으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및 군 통신선을 차단한 이후 남한과의 소통에 응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이들이 타고 온 목선을 수리해 이들을 모두 태운 뒤 해상으로 송환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구체적인 송환 날짜와 방식을 유엔사를 통해 통보한 이후 NLL 인근부터 북한 주민들이 자력 항해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송환 중에는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 국제상선통신망으로 북측에 주민 송환이 목적이라는 사실을 알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처럼 남북 간 통신이 끊겨 있던 시기 북한의 응답 없이 북한 주민을 송환한 유사 사례가 있다.

정부는 2017년 5월 27일 동해상에서 조난한 북한 어선과 선원 6명을 구조해 나흘 만인 31일 북한으로 보냈다. 이 과정에서 북측 안내 선박이 NLL 북쪽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해당 선박과 함께 돌아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