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소비 동반 반등…설비투자는 4개월째 부진 지속
검색 입력폼
경제

생산·소비 동반 반등…설비투자는 4개월째 부진 지속

통계청, 6월 산업활동동향 발표
6월 전산업생산 1.2%↑…석달만에 플러스 전환
소매판매도 0.5% 증가 전환…추경 효과는 아직
설비투자는 3.7% 감소…건설기성은 6.7% 증가
경기동행지표는 0.1p 하락…선행지표는 0.2p 상승

[나이스데이] 6월 산업생산과 소비가 동반 증가했다. 생산은 3개월, 소비는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설비투자는 넉 달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지만 건설투자는 반등에 성공했다. 향후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경기선행지표도 플러스를 나타내 다소 개선된 경기 심리를 반영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2% 증가했다.

전산업생산 증감율은 지난 3월 1.1%를 기록한 뒤 4월 -0.7%, 5월 -1.1%로 두 달 연속 감소했다가 6월 반등했다.

광공업은 1.6%(제조업 1.7%), 건설업은 6.7%, 서비스업은 0.5%, 공공행정은 1.4%씩 생산이 전달보다 늘었다.

제조업종에서는 반도체(6.6%), 자동차(4.2%), 금속가공(4.7%) 등 생산이 증가했고, 전자부품(-18.9%), 기계장비(-1.8%), 기타운송장비(-2.2%)는 감소했다.

제조업 출하는 전달보다 1.8% 늘었다. 내수 출하(2.0%)와 수출 출하(1.5%)가 함께 증가했다. 재고/출하 비율은 102.6%로 전월 대비 1.6%포인트(p) 하락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달보다 1.0%p 오른 72.4%로 집계됐다.

서비스업의 경우 금융·보험(3.4%), 전문·과학·기술(1.6%), 부동산(3.4%) 등이 전월 대비 증가했고, 보건·사회·복지(-1.7%), 예술·스포츠·여가(-7.4%), 교육(-2.0%) 등은 감소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6월의 경우 4월 이후 (미국의) 10%의 관세가 부과됐음에도 수출이 꽤 괜찮게 나왔다. 자동차는 25%인데 우려했던 것보다는 선방하는 모습이다. 또 반도체 업황이 좋아서 전체 수출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세가 유예되면서 조기 선적 효과가 일부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업계 차원에서 미국 수출 대신에 다른 유럽연합(EU)이나 대체 시장으로 진출하는 모습"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 영향을 기업들이 최소화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 증가했다. 3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넉달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내구재(-1.6%) 판매가 줄었지만 준내구재(4.1%)와 비내구재(0.3%)는 판매가 늘었다.

가전제품, 가구, 화장품, 음식료품 등 판매는 증가했고, 승용차·통신기기, 컴퓨터, 차량연료, 의약품, 서적·문구 등은 감소했다.

업태별로 보면 백화점(3.4%), 대형마트(2.2%), 면세점(7.5%), 전문소매점(1.1%), 무점포소매(1.6%) 등에서 판매가 늘고, 슈퍼마켓·잡화점(-2.7%), 편의점(-0.9%), 승용차·연료소매점(-2.6%) 등에서는 판매가 감소했다.

최창윤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은 "소매판매는 지난달까지 감소를 하다가 4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소비 심리가 지난달과 이번달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소비 쿠폰이나 정책 향방을 지켜봐야 하지만 증가 전환이란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3.7% 감소했다. 4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1.7%)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운송장비 투자가 14.8%나 줄었다.

조성중 과장은 "설비투자가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트럼프 관세에 따른 위험이 있어 기업들이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기 어려운 점도 반영된게 아닌가 한다"고 분석했다.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6.7% 늘었다. 지난 2월 이후 넉 달 만에 플러스 전환이다. 토목 공사 실적은 2.8% 감소했지만 건축 공사 실적이 10.3% 증가한 영향이다.

하지만 선행지표 성격인 건설수주는 전년 동월 대비 13.6% 감소해 건설 경기 부진의 여파는 지속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최창윤 과장은 "건설은 3개월 연속 감소 후에 반등했는데 전년 동월 대비로는 14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어서 건설경기가 전환점을 맞았다고 판단하기엔 이른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p) 하락했다. 향후 경기 흐름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p 상승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