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갖고 "화재 이후 정부와 관계 기관이 밤낮 없이 최선의 노력을 다해 복구를 진행 중이지만, 불편을 겪고 계신 국민들을 생각하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차관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전체 목록과 정상화 여부, 대체 수단도 함께 제공해 기관과 국민의 불편을 줄여나가겠다"며 "다만 이번 화재로 국정자원의 관리 시스템 활용이 어려워 시스템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고 했다.
정부는 대전 국정자원 내 전산실별 시스템 현황도 안내했다.
대전센터는 2층부터 5층까지 모두 9개의 전산실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5층에는 7, 7-1, 8전산실이 위치하고 있다.
또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7-1 전산실은 96개, 나머지 7전산실은 200개, 8전산실은 34개 등 총 330개 시스템이 위치하고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는 전체 647개 시스템 중 51%를 차지하는 것이다.
김 차관은 이날 "지방자치단체 현장점검 결과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께서 자주 많이 활용하는 각종 민원 처리는 정부24, 무인민원 발급기가 정상화되면서 다소 불편하지만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고도 했다.
다만 "부동산 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기능 장애로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돼 국민은 주민센터를 방문해 수기로 처리하는 등 불편은 존재했다"며 "시스템 복구와 대체수단 안내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에 보다 속도를 낼 계획이다.
김 차관은 "화재 영향이 적은 2~4층에 위치한 시스템들은 재가동을 이어가고, 7-1전산실을 제외한 5층에 위치한 시스템들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이 이뤄질 전망"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직접 피해 입은 7-1전산실의 96개 시스템에 대해서도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 민간기업 협력 등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