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계기 북미회담 가능성 낮아…北, 李대통령 관여 원치않아" 美전문가
검색 입력폼
탑뉴스

"APEC 계기 북미회담 가능성 낮아…北, 李대통령 관여 원치않아" 美전문가

"北, 물리적 도발하면 대응 두고 한미 긴장 생길수도"

[나이스데이]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한하면서 깜짝 북미회담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데,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은 낮다고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가 분석했다.

시드니 사일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고문(비상임) 9일(현지 시간) CSIS 팟캐스트 '캐피털케이블'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최우선순위는 김정은을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테이블로 데려오는 방법을 찾는 것이 돼야할 것이다"면서도 "APEC에 의한 가능성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APEC이 임박한 만큼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그보다는 김정은은 이 대통령에게 그들이 함께 모이는 것에 대한 공로를 돌리고 싶지 않을 것이다. 그런점이 그것을 어렵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APEC을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질 경우 한국과 이재명 정부에 도 공로가 돌아가기 때문에, 북한이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사일러 선임고문은 그러면서도 북한과의 관계개선은 이재명 정부의 우선순위가 될 것이며, 2018년 남북군사합의와 같은 조치나 한국 정부의 일방적 선언이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북한 도발에 대비한 한미 연합태세와 핵억지력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으나, 북한이 실질적인 도발에 나설 경우 한미 관계에 갈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도 짚었다.

사일러 선임고문은 "가장 우려하는 시나리오는 북한이 언어적 도발이나 실험, 발사, 행진에서 실제 한국에 대한 물리적인 살상 행동으로 전환하는 것이다"며 "이는 어떤 대응이 최선인지를 두고 한미 협력 관계를 일종의 긴장상태로 몰아넣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그때 '무엇보다 우리는 앉아서 평화를 논의해야 한다. 저들은 핵무기를 갖고 있으며 평화를 회복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면" 한미간 갈등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마커스 갈라우스카스 애슬랜틱카운실 인도태평양 안보 담당 국장은 북한의 회색지대 도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미가 협력을 강화해야 하나고 강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