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말까지 공직기강 특별점검…"정부 출범 4개월 기강해이 우려"
검색 입력폼
정부

정부, 연말까지 공직기강 특별점검…"정부 출범 4개월 기강해이 우려"

내일부터 12월 31일까지 '범정부 공직기강 특별점검' 시행
윤창렬 국조실장 주재 감사관 회의…"일부 공직자 안이한 업무태도"

[나이스데이] 정부가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오는 22일부터 '범정부 공직기강 특별점검'을 시행한다. 최근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건 등을 계기로 공직사회 기강 해이를 경계하고 국민생활과 직결된 분야에 대한 사전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국무조정실은 21일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중앙행정기관 감사관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49개 중앙행정기관 감사관들이 참석했다.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새 정부 출범 4개월을 맞아 공직사회 전반의 긴장감이 완화되고 일부에서 안이한 업무태도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폭우 대응 미흡과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건 등을 사례로 들며 공직자의 책임의식 회복과 기강 확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범정부 공직기강 특별점검은 22일부터 오는 12월 31일까지 실시된다. 국무조정실이 총괄하며 각 부처는 자체계획을 수립해 소속·산하기관이 함께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참석자들은 또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의 업무 공백과 소통 부족을 경계하고 공직자들이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적극 행정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국무조정실은 전했다.

정부는 핵심 국정과제 추진 점검을 강화하고 공직사회의 무사안일과 소극행정에 대해 엄정히 대응하기로 했다.

에너지·교통·통신 등 국민생활 밀접 분야의 사전 점검을 강화하고 위험물 취급시설과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관계 부처와 공공기관이 함께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는 공직사회에 적극행정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시책을 추진한다. 적극행정에는 보상을 강화하는 한편, 갑질·직장 괴롭힘·성비위를 ‘3대 악습’으로 규정해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아울러 부패 취약분야에 대한 점검과 감찰도 병행할 예정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