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금 대출 축소에 청약 수요자도 아우성…공급 위축 우려도
검색 입력폼
경제

중도금 대출 축소에 청약 수요자도 아우성…공급 위축 우려도

규제지역 중도금 대출 LTV 40%로 축소
잔금 전까지 치러야 하는 자금 부담 커져
초강력 대출규제로 청약 실수요자도 영향

[나이스데이] 10·15 대책으로 규제지역 분양 아파트 중도금과 잔금 대출 한도까지 축소되면서 청약 실수요자들도 타격을 받고 있다.

규제지역에서 신축 아파트 분양을 받은 경우 중도금 대출 LTV(주택담보인정비율)가 40%로 축소되면서 자금 마련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중도금 대출 축소로 건설사들의 자금 확보에도 어려움이 생기면서 주택공급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10·15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16일부터 입주자 모집공고를 낸 단지는 중도금 대출에도 LTV 40%가 적용된다.

보통 분양대금은 계약금 10%와 중도금 60%, 잔금 30%로 나눠서 내는데 중도금 대출이 집값의 40%로 줄면서 수분양자가 잔금 전까지 치러야 하는 자금 부담이 커진 것이다.

또 잔금대출 전환 시 대출 한도도 시가 15억원 이하 주택은 6억원, 15억을 초과하면 4억원, 25억원을 초과하면 2억원으로 한도가 준다.

분양가와 청약 커트라인이 계속 오르면서 수도권 청약시장 문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10·15 대책으로 대출 규제까지 확대되면서 실수요자들이 시장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초강력 대출규제가 청약 실수요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현금 여력이 부족한 수요자들은 분양가가 낮거나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지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경기 김포에서 분양하는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는 지난 24일 견본주택을 개관한 후 3일간 약 2만5000명이 방문했다. 하남과 광명, 의왕, 수원, 용인 등 경기 주요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면서 비규제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부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중도금 대출 축소로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보통 분양 사업장에서는 계약자들의 집단대출을 통한 중도금 조달로 공사비 등 사업비를 충당하기 때문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상당수 중소 건설사는 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돼 분양사업은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이는 중장기적으로 공급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