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농업기술' 개도국 식량안보 밑거름…年 3000만명 쌀 공급
검색 입력폼
정부

'K-농업기술' 개도국 식량안보 밑거름…年 3000만명 쌀 공급

K-농업기술 활용 개도국 식량안보 기여 방안
국제 R&D 네트워크로 국경이동 해충 감시
중앙아시아 등에 낙농기술 실증단지 조성

[나이스데이] 정부가 K-농업기술을 활용해 개발도상국의 식량안보 문제 해소에 적극 나선다. K-농업기술 국제 연구개발(R&D) 네트워크를 구축해 국경을 넘나드는 해충을 감시하고, K-라이스벨트 사업으로 쌀부족 아프리카 7개국에 연간 3000만명을 먹일 수 있는 우량종자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K-농업기술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식량안보 기여 방안'을 논의해 확정했다.

농촌진흥청은 2009년부터 농업기술 전문가를 개도국에 파견해 27개국에서 맞춤형 농업기술을 보급해왔다. 지금까지 개발·실정·보급해온 기술은 총 297건이다. 대륙별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를 운영해 아시아 14개국, 아프리카 37개국, 중남미 14개국의 농업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시범마을을 통해 검증한 농업기술을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베트남, 키르기스, 케냐 등 총 6개국 정부 정책과 연계해 확산할 계획이다.

파키스탄은 KOPIA 사업인 무병씨감자 수경재배 기술을 국책사업으로 지정해 250만 달러를 투입하고, 2028년까지 국가 수요의 30%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농진청은 지난 12년간 15개국에 시범마을을 조성해 28개의 기술패키지를 검증해왔다. 일례로 필리핀 대통령은 지난해 우리 농업기술을 적용한 채소 비가림 재배시설 이양식에 참석해 사업 성과를 치하하기도 했다.

더불어 농진청은 관계부처의 주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대한 농업기술을 지원한다. 농식품부가 주관하는 K-라이스벨트 사업과 연계해 벼 종자 생산 기술을 지원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아프리카 쌀부족 국가 7곳에 2027년까지 연간 벼 우량종자 1만t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매년 3000만명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농진청은 농식품부 이외에도 타부처가 진행 중인 농업·농촌 관련 주요 ODA 사업에 농업기술을 제공할 방침이다.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사업도 대륙별로 확대한다. 지난해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등을 개최하면서 대륙별 협의체 회원국 수가 지난해 1월 50개국에서 77개국으로 확대됐다. 지역별 국제기관과 협업해 당면한 현안을 해결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R&D 국제협력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할 농업기술도 확보한다. 세계 주요 식량작물과 채소류를 중심으로 기상재해와 병해충에 강한 품종 7건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네덜란드·독일 등 농업 선진국과 R&D 국제협력을 추진한다.

기존 25개 연구기관과의 기후변화 대응 연구과제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더불어 프랑스·캐나다·노르웨이 등으로 협력 대상을 넓힐 예정이다.

농진청은 국제 R&D 네트워크를 통해 국경을 이동할 수 있는 해충을 감시하는 사례를 만들 계획이다. 지난 2016년 옥수수해충인 '열대거세미나방'이 아프리카 전역에 퍼지면서 62억 달러의 피해를 냈다.

이 경우 아시아 14개국과 아프리카 37개국이 참여하는 국제협력체계를 만들어 해충의 이동을 감시하면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51개 개도국이 각각 수집한 정보를 분석, 환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농기자재 수출을 촉진하는 '재배 전주기 농업문제 해결형 수출사업'도 추진한다. 사업대상국의 기술수요와 농업환경 조건을 반영해 국내 기업간 협업체계를 통해 농기자재를 공급한 후, 상대국 협력기관과 함께 사업성과 도출하는 사업이다. 아프리카(벼), 중남미(감자), 중동(시설원예) 등에 기술패키지를 제공해 효과를 검증해나간다.

낙농기술은 비중이 큰 중앙아시아와 아시아 내륙 국가에서 실증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생산성이 낮은 송아지 생육 전주기에 K-낙농기술을 적용해 실증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향후 5년간 기대 농기자재 수출액을 벼 300억원, 감자 150억원, 시설원예 88억원, 낙농 100억원 등으로 관측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K-농업기술로 개발도상국의 식량안보 강화와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 국내외 농업 회복탄력성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R&D 핵심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며 "개도국은 신뢰 가능한 수입처로부터 농기자재를 확보하고, 기술력이 우수한 국내 중소 농기자재 기업에게는 해외진출 기회를 제공해 산업계 활력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