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추진상황'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수립 후 이행해오고 있다. '산지-도매-소매' 등 유통 단계별로 효율성을 제고하고, 유통경로 간 경쟁을 촉진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의 편익을 높인다는 취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품목별 주산지에 스마트 APC 30곳 구축을 완료했다. 올해는 60곳, 내년에는 총 100곳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 APC는 평균 취급 물량을 늘리고, 선별·포장 인력은 줄여 출하 단계에서 물류비용을 5% 절감하는 효과를 낸다.
향후 스마트 APC 운영에 대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컨설팅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유통교육원과 농협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수산물은 부산공동어시장을 현대화하고, 산지거점유통센터(FPC) 2곳과 수산물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 한 곳을 추가로 구축할 방침이다. 현재 FPC는 13곳, FDC는 2곳 건립돼 있는데, 수산물 유통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유통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고등어의 경우, 유통비용이 6.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용 파레트(화물 운반대) 등 물류기기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사업구조도 개편을 추진한다. 산지 조직별로 연간 물류비를 절반 수준인 46.5%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향후 기존 시장을 통합 거점 물류 기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온라인도매시장을 내실화하는 작업도 착수한다.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은 오프라인 도매시장 중심의 농수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2023년 11월에 처음 개설된 후 지난해 거래목표액 5000억원을 초과 달성했다.
지난해 거래효과를 분석한 결과, 농가 수취가격은 전년보다 3.6% 올랐고 유통비용률은 7.5%포인트(p) 감소했다.
올해는 5대 채소와 6대 과수, 계란을 중심으로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올해 거래목표액 1조원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지원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부터는 온라인도매시장 제도개선을 위한 민관합동 지원반을 운영 중이다.
농식품부는 거래 주체별로 온라인도매시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산지와 소비지 간 직배송 물류비를 지원하거나 외식 및 가공업체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거래를 매칭하는 방식 등이다.
정부는 향후 온라인도매시장의 근거가 되는 법률 제정도 마련할 계획이다. 더불어 도매법인의 경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매법인 지정취소 의무화, 신규법인 공모제 등을 담은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도 추진한다.
정부 관계자는 "유통 주체 간 경쟁을 촉진하고, 농산물 유통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유통비용 절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