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앞으로 경선이나 대선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해당 행위에 대해서는 엄격하고 가혹하게 처리해 나가겠다는 원칙을 줬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통합된 마음으로 대선을 치르기 위해서는 우리 당원들과 국회의원들의 하나 된 마음이 필요하다, 앞으로 말로 분열되는 것들은 없어야 한다, 해당 행위를 철저히 자제해줬으면 좋겠다'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해당 행위의 범위를 두고는 "지금은 대선이라는 비상한 상황이기 때문에 지도부가 생각하는 해당 행위가 있을 수 있다"며 "당 공식 입장에 철저히 반하는 발언을 하거나, 결정된 대선 후보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면 해당 행위가 될 수 있다. 정성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상욱 의원에 대한 징계 논의가 있었는지 묻자 "없었다"면서도 "정확하게는 '해당 행위는 가혹할 만큼 엄중하게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위원장이 고심해서 결론을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는 탄핵 찬성 의사 등을 공개적으로 밝힌 김 의원 등에 대한 징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신 수석대변인은 아울러 "'각 경선 후보가 (대선) 출마 선언을 하게 되면 우리 당 주요 당직자들이 경선 캠프로 가는 경우가 생기는데, 적어도 당직을 겸직하면서 가는 일은 안 된다'는 원칙적 발언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언론을 향해서는 "앞으로 경선 과정에 들어가면 각 후보 진영에서 굉장히 많은 이야기가 나올 텐데, 사실관계가 다른 형용사로 꾸며지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 것 같다"며 "특정한 포지션을 갖고 있는 한 분이 한 얘기가 우리 당의 주류처럼 (나오는) 경우가 있다. 가급적이면 누가 이야기했다는 걸 써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신 수석대변인은 개헌 논의와 관련 "그동안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개헌에 적극적이었던 건 사실"이라면서도 "우원식 국회의장과는 교감이 안 된 것으로 알고 있다. 우 의장이 제시한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 진행) 프로세스를 같이 가야 될 것인지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했다.
탄핵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을 두고는 "이미 대통령 탄핵안 (통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전 지도부가 물러난 상태에서 권영세 지도부가 들어섰다"며 "새 지도부를 뽑는 데 열흘 정도를 허비하면 선거를 치를 수 없다.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물러서겠다는 것이 책임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