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곳씩 폐업"…벼랑 끝 내몰린 지역 건설사들
검색 입력폼
탑뉴스

"하루 10곳씩 폐업"…벼랑 끝 내몰린 지역 건설사들

악성 미분양 증가에 지역 1위 건설사도 '법정관리' 신청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위해 지자체 맞춤형 전략 필요

[나이스데이] "지역 건설 붕괴가 심각합니다."

지난 29일 대구의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지역 건설경기와 관련한 뉴시스 취재진의 질문에 "대구의 중소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가 현실화하면서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미 대구 지역 건설업계의 붕괴가 이어지고 있다"며 "하루가 다르게 벼량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며 지역 건설사들이 줄도산 위기에 놓였다. 일부 건설사들은 자산 매각이나 할인 분양 등 자구책 마련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미분양 폭탄에 깡통 전세까지 겹치면서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

실제 중견 건설사들이 잇따라 무너지고 있다. 지난 8일 시공능력평가 96위(지난해 기준)이자 충북 지역 1위 건설사인 대흥건설이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올해 초부터 시평 100위권 내외 건설사들이 회생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시평 96위 대흥건설을 비롯해 ▲신동아건설(58위) ▲삼부토건(71위) ▲대저건설(103위) ▲안강건설(116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삼정기업(114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이화공영(134위) 등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로 책임준공을 확약했던 지역 건설사들이 미분양 물량에 대한 지급보증 의무를 떠안고, 이로 인해 유동성 위기에 겪다 결국 법정관리까지 내몰리게 된 것이다. 지역을 기반으로 한 건설업계의 연쇄 부도가 지방 경제의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교통부의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악성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5.9% 증가한 2만5117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8월(2만6453가구)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악성 미분양 주택은 비수도권에서만 2만 가구를 넘겼다. 지방의 악성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7.1% 늘어난 2만543가구였다. 특히 전북(28.4%), 경남(23.1%) 지역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무너지는 건설사가 속출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7일 기준)까지 종합건설업체 기준 171곳이 폐업을 신고했다. 하도급(전문건설) 업체까지 더하면 총 1002곳으로 집계됐다. 하루에 10곳씩 문을 닫은 셈이다. 또 종합건설업체 기준으로 같은 기간 폐업 신고 업체는 2022년 78곳에서 2023년 127곳, 지난해 148곳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분양이나 임대를 위해 아파트를 짓다가 공사가 중단된 사업장도 2021년과 2022년에는 한 곳도 없었지만, 2023년에 16곳으로 급증했다. 금액으로만 1조2143억원 규모의 공사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이런 부실 사업장이 17곳으로 증가했고, 사고액은 1조155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영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미래산업정책연구실장은 "지역건설산업은 비수도권일수록 더욱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중장기적 시각에서 탄탄한 정책 마련과 일관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며 "지자체별로 상황이 모두 다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서 지자체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