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9 여객기 참사 지역 경제활성화 연구용역…6개월간 피해분석·지원방안 실시
검색 입력폼
탑뉴스

12·29 여객기 참사 지역 경제활성화 연구용역…6개월간 피해분석·지원방안 실시

무안공항 내 상업시설 및 지역·관광업계 경영난
지원단, 광주·전남 지자체·전문가 협의 방안 마련

[나이스데이] 정부가 12·29 제주항공여객기 참사 피해지역의 경제회복을 위한 대책마련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4일 '12·29 제주항공여객기 참사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이달 30일 시행 예정인 '12·29 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9조에 따라, 피해지역의 문화·관광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특별지원방안 수립이 의무화된 데 따른 후속 조치이다.

특별법 제9조에는 ①국가는 피해지역의 문화·관광 등 경제 활성화 및 공동체 회복을 위해 피해지역의 의견을 반영한 특별지원방안을 시행해야 한다. ②제1항의 특별지원방안에는 12·29 여객기참사로 인한 영업활동의 제한 등으로 피해를 입은 대상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포함하고 있다.

국토부도 참사 직후 무안공항 활주로가 일시 폐쇄되면서 공항 내 상업시설, 항공기 취급업체, 지역 관광업계 등에서 직·간접적인 매출감소와 경영난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에서도 체계적인 피해분석과 맞춤형 지원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12·29 여객기사고 피해자 지원단을 구성하고 관계부처와 광주·전남 지자체 및 전문가와 협의를 거쳐 객관적인 피해분석과 지원방안을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6개월간 추진하게 된다.

지원단의 과업 수행은 '피해지역 경제현황 및 피해규모 분석'과 '현장 의견수렴 및 실질적 지원 도출'을 위한 지역 소상공인 및 관광업계 조사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시행한다.

또한 현장의견과 피해현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피해 업종별 실질 효과가 기대되는 맞춤형 경제 활성화 방안과 세부 사업계획을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박정수 지원 단장은 "항공사고는 단순한 항공 운송 차질을 넘어 지역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재난이다"라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맞춤형 특별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