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대출규제'에 '마성강' 거래 '뚝'…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 74% 감소
검색 입력폼
경제

'고강도 대출규제'에 '마성강' 거래 '뚝'…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 74% 감소

직방, 규제 전후 2주간 실거래 분석
마포·성동·강동구 '한강벨트' 직격탄
"추가 규제 변수 커져…짙은 관망세"

[나이스데이] 6·27 고강도 대출규제 2주 만에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가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포구와 성동구, 강동구 등 최근 집값이 급격히 오르던 '한강벨트'에서 최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14일 직방이 6·27 규제 전후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고가 거래량은 1141건에서 300건으로 74% 감소했다.

지난달 규제 발표 전 2주 동안(6월 13일~6월 26일) 총 4693건의 거래 중 1141건이 최고가 거래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거래량의 24.3%에 해당한다. 강남권에서 시작된 집값 상승세가 마포, 성동, 강동 등으로 확산되며 최고가 거래가 더욱 집중됐다.

그러나 대출규제 발표 후 2주 간(2025년 6월 27일 ~ 7월 10일)의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크게 줄었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발표전보다 74% 줄었고 최고가 거래 비중도 24.3%에서 22.9%로 1.4%포인트(p) 감소했다.

특히 마포, 성동, 강동 등 대책 전 최고가 거래가 많았던 '한강벨트' 지역에서 최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대책 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대책 후 22건으로 84% 급감했다.

마포구(137건)는 대책 후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집계되며 87%가량 감소했다. 대출규제 전 최고가 거래가 가장 많았던 마포래미안푸르지오3단지(7건)와 공덕자이(5건) 등은 대책 이후 최고가 거래가 없었고 래미안밤섬리베뉴II는 6건에서 1건으로, 신촌숲아이파크는 3건에서 2건으로 줄었다. 강동구의 최고가 거래량도 대책 후 116건에서 23건으로 80% 감소했다.

강남3구도 마찬가지다. 규제 전 112건의 최고가 거래가 있었던 강남구는 대책 후 41건으로 줄며 63% 감소했다.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으로,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줄었다.

최고가 거래는 향후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는 지표인 만큼 규제 이전의 공격적인 매수세가 관망세로 전환된 것으로 풀이된다.

직방은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정부의 강경한 정책 기조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에 따른 자금 계획 수립 등으로 혼란스러웠던 초기 국면은 다소 진정됐지만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기존 매물의 호가가 일부 조정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선 상태"라고 진단했다.

다만 대출 여력에 따라 향후 서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외곽의 비규제 지역이나 경기권 일부 지역이 일시적인 대체지로 주목받을 가능성은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대출규제에 대해 '맛보기'라며 추가 규제 가능성을 예고한 만큼 당분간 이 같은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대출규제가 별도의 사전 예고 없이 발표 즉시 시행된 만큼 정책의 예측 불가능성 자체가 향후 시장 변동성을 더 키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직방 관계자는 "수요자 입장에서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금 계획을 점검하고 불확실성에 대비한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뉴시스